창조의 꽃, 영상콘텐츠 시나리오 공모전 시상식 열어
경북 지역 소재로 한 창작 시나리오 발굴 , 총 195편 출품
대상에 ‘영주’를 출품한 박효연씨 선정
경상북도는 7일 (재)경상북도문화콘텐츠진흥원에서‘제13회 경상북도 영상콘텐츠시나리오 공모전 시상식’을 열었다고 밝혔다.
다른 어느 지역보다 창작 소재가 풍부한 경북 지역을 소재로 한 경상북도 영상콘텐츠시나리오 공모전은 2003년을 시작으로 13회째를 맞이하여 지역영상 산업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고 있다.
역대 경북영상콘텐츠에서 수상한 시나리오는 3건이 영화로 만들어 상영되었고 3건은 드라마로 제작되어 방영된바 있다.
※ 총 계약현황 9건(영화 5 / 드라마 4)
이번 공모전에는 지난 6월 28일부터 7월 10일까지 전국에서 총 195편의 작품이 출품돼 열띤 경쟁을 펼쳤으며, 1차 예선심사와 2차 본선심사 및 3차 최종 심사를 거쳐 대상 1편, 최우수상 1편, 우수상 2편, 장려상 3편 등 총 7편의 작품이 선정됐다.
대상은 경북 영주지역을 소재로 주인공들의 개성 있는 캐릭터와 경상도 사투리의 대사가 맛깔스럽게 살아있으며 한때 버리려 했던 자신의 고향과 한때 바꾸려 했던 자신의 이름에 대해 후회와 용서를 구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은‘영주’를 출품한 박효연씨가 영예를 안았다.
금상은 1500년대 유교사회에서 양반의 신분으로 요리에 집념하는 선비 김유의 삶을 녹여 낸‘수운잡방’의 김익현과 조수영씨가 수상했다.
또한, 우수상은 안동을 배경으로 한국전쟁의 비극과 사랑에 대한 이야기인 ‘그 해 여름’의 신수연과 안용복의 역사적 사실을 감동적인 극영화로 재탄생시킨‘안용복’을 출품한 최원성씨에게 돌아갔다.
대상 수상자에게는 경상북도지사상과 창작료 1,200만원, 최우수상 수상자에게는 창작료 600만원, 우수상 수상자에게는 300만원, 장려상 수상자에게는 진흥원장상과 함께 100만원이 수여됐다.
경북도는 향후 공모전 수상작을 순회 전시하고 도내 소기업의 이미지광고, 상품홍보에 수상작의 디자인을 제공하고, 영화・드라마 제작사 대표와 수상자 간의 시나리오피칭 및 제작간담회를 개최하는 등 아낌없는 지원을 다할 계획이다
경상북도 전화식 문화관광체육국장은 “해를 거듭할수록 소재도 다양해지고 영화나 드라마 제작이 가능한 작품이 눈에 띄게 늘어 문화콘텐츠 인프라 구축에 기여하고 있음을 자랑스럽고 기쁘게 생각”한다며,
“앞으로 공모전을 통해 발굴된 작품을 영화나 드라마로 제작하여 경북 문화융성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도록 아낌없이 지원할 계획이다.”고 밝혔다.<자료제공,문화융성사업단>
[수상자 명단]
순번 훈 격 이 름 (공동출품자) 주 소 작품명 작품배경 분 야 시놉시스 1 대 상 (1,200만원) 박효연 경기 영 주 영주 극영화 한때 버리려 했던 자신의 고향, 한때 바꾸려 했던 자신의 이름에 대해 후회와 용서를 구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2 최우수상 (600만원) 김익현 (조수영) 서울 수운잡방 안동 극영화 우리나라 최초의 요리서인 수운잡방은 1500년대 초 안동의 광산 김씨 김유란 선비가 지은 것이다. 그때 당시 유교 사회에선 양반이 음식을 하거나 사내가 부엌에 들어가는 건 절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근데 사대부 양반이었던 김유는 어떻게 조리서를 쓰게 되었던 것일까? 3 우수상 (300만원) 신수연 경기 그 해 여름 안동 드라마 전쟁의 거창한 의도나 이념과는 아무 상관도 없는 한 여자와 한 남자가, 1950년 한국전쟁이 일어나면서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겪어야만 했던 비극과 사랑에 대한 이야기 4 우수상 (300만원) 최원성 인천 안용복 울릉도, 독도 극영화 안용복의 역사적 사실을 코믹하고 감동적인 드라마로 재탄생 5 장려상 (100만원) 민경근 서울 도깨비 사냥꾼 이리 구미 극영화 경북 도심 속, 지금껏 보지 못한 도깨비 사냥이 시작된다! 소심하게 살아가던 취업준비생 이리가 도심 속 인간 탈을 쓴 도깨비들을 사냥하는 '도깨비 사냥꾼'에 입문한다 6 장려상 (100만원) 최혜진 서울 해국의 노래 포항 드라마 일제시대. 포항 구룡포에 살았던 한국인과 일본인들은 모두 피해자였다. 국가가 저지른 폭력 아래에서도 꾸역꾸역 피어났던 우정과 사랑, 그리고 믿음. 그것이 인간이고 그것이 우리의 힘이다. 7 장려상 (100만원) 류정민 (최유진) 서울 원화도 경주 드라마 신라 시대, 진흥왕 때 만들어진 청소년 단체 ‘원화’(화랑의 전신). 귀족 출신의 처녀 두 명을 뽑아 단체의 우두머리로 삼고 300여명의 청소년을 거느리게 하였다. 하지만 서로 시기하는 폐단 때문에 폐지되고, 남성을 우두머리로 하는 화랑으로 재구성된다.
뉴스경북' 자랑스런 경북인과 함께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