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뉴스경북/김승진 기자] 경상북도 토속어류산업화센터에서는 농·어촌 고령화 및 FTA 등 대내·외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친환경 논 생태양식 기술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도는 이번 사업을 위해 10일 오후 2시 모내기와 동시에 ‘16년 4월초 자체 인공종묘 생산한 미꾸리 치어 3만 마리(30일齡, 길이 40㎜, 무게 0.5g)와, 1년산 미꾸리 3만 마리(길이 8㎝, 무게 5g) 등 총 6만미를 센터 내 시험포(2개소, 1,510㎡-약457평)에 방양했다.
미꾸리 친환경 논 생태양식은 미꾸리가 논바닥에서 생활함으로써 벼 뿌리의 산소 공급과 잡초제거와 해충을 구제하며, 미꾸리의 배설물은 천연비료로 활용되어 벼 생육 및 미꾸리 성장을 동시에 유발함으로써 친환경 생산기술과 고품질 소득을 창출하는 방법이다.
-국립수산과학원 보고서 내용 中에서-
INM : 작물양분 종합관리, IPM : 병해충 종합관리
친환경 논 생태양식은 지난해 5월 중순 처음 실시해 시험포(2개소, 1,510㎡)에 미꾸리 (길이 30㎜, 무게 0.1g) 45천미를 방양한 결과, 10월에 벼 640㎏와 미꾸리 3만미(평균 9.8㎝, 3.8g)를 수확했다.
최근 논 생태양식은 국민들의 친환경, 무항생제 등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농·어업 융복합 신개념 생명산업 차원의 논 생태양식의 필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도는 지난 4월 28일 도내 희망 농어가 등을 대상으로 ‘2016년 상반기 내수면 전문 인력 양성’을 통해 미꾸리 인공종묘생산 이론 교육, 인공수정 기술 실습 등 실무 위주의 교육 내용을 바탕으로 점차 논 생태양식에 성공적으로 정착 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서 원 경북도 동해안발전본부장은 “미꾸리를 이용한 친환경 논 생태양식은 경북도 농어촌의 산업화 프로젝트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며, 앞으로 친환경 논 생태양식에 적합한 추가 어종 발굴과 논 생태양식 소득분석을 통한 시범단지를 조성해 기술 보급에도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자료제공=토속어류산업화센터>
※ 시범농가 현황
위 치 : 경북 의성군 구천면 모흥리 237-1번지
규 모 : 시험포 1개소(1,983㎡-약600평) 친환경 농업인 이동수씨
사업내용 ∙ 1년산 미꾸리 입식에 따른 당해년도 벼·미꾸리 생산 실험
미꾸리의 특성
○ 학명 : Misgurnus anguillicaudatus, 영명 : Barboach
○ 생태적 특징
∙ 분 포 : 우리나라에선 전국적으로 분포
∙ 서 식 장 : 논, 얕은 저수지, 도랑 (산 란 : 4∼7월까지 산란)
∙ 성 장 : 부화 직후 전장 3∼4㎜크기, 1개월째 30∼40㎜크기,
1년이면 16g정도 성장
∙ 식 성 : 소형동물(물벼룩, 수생곤충), 조류, 식물의 잎 등 잡식성
구 분 |
미 꾸 리(통 꾸 리) ※ 통꾸리 : 몸통이 통통하다. |
미꾸라지(납라지) ※ 납라지 : 몸통이 납작하다. |
체 형 |
단면이 동그랗다하여 “둥글이”라 부름 |
단면이 납작하다하여 “넙죽이”라 부름 |
피습돌기 |
잘 발달하지 않음 |
꼬리부분에 날카로운 피습돌기가 잘 발달 |
수염길이 |
짧다 |
길다 |
서 식 지 |
우리나라, 중국, 일본에 분포 주로 하천의 중․상류 지역에 서식 |
우리나라, 중국에 분포 주로 하천의 중․하류 지역에 서식 |
기타특징 |
성장이 느리고 고수온(27℃이상)에서 약하여 도전양식(논생태양식)을 주로 한다. |
성장이 빨라 지수식양식을 한다.
|
식 감 |
뼈가 부드럽고, 식부면적이 넓어 식감과 맛이 탁월하다. |
뼈가억세고, 식부면적이 적어 식감이 떨어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