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경 대승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국보지정 예고

  • 등록 2017.06.27 20:40:36
크게보기

1684년 예천 용문사, 상주 남장사, 서울 경국사, 1692년 상주 남장사 관음선원, 1782년 남원 실상사 약수암 등 현재 6점이 보물로 지정 돼

뉴스경북=김승진 기자

문화재청,문경 대승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국보 지정예고

사진.자료제공/문화예술과



문화재청은문경 대승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을 국보로 지정예고 했다.

문경 대승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聞慶 大乘寺 木刻阿彌陀如來說法像)19731231일에 지정된 보물 제575문경 대승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및 관계문서중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만 국보로 승격 지정 예고하는 것이다.

 

관계문서의 경우 19세기에 작성된 것으로서 향후 문화재의 가치 판단을 통해 문화재위원회에서 다시 심의할 계획이다.

 

1675년에 제작된 대승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은 현존하는 조선 후기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가운데 가장 오래된 작품이다.

불화와 조각을 절묘하게 접목했다 해서 흔히 '목각탱'이라 불리는데, 조선 후기에 유행하였다.


이러한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은 1684년 예천 용문사, 상주 남장사, 서울 경국사, 1692년 상주 남장사 관음선원, 1782년 남원 실상사 약수암 등 현재 6점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대승사의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은 이 중에서 가장 규모도 크고, 부처와 보살상의 표현은 물론, 작품 전체의 격이 높고 도상의 수도 많아 다른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들의 모본으로 볼 수 있어 국보로서 가치가 인정되었다.


이 작품에서 보이는 대중성 짙은 평담(平淡)한 미적 감각을 바탕으로 강직하고 개성 넘치는 묘사력은 17세기 후반에 활약했던 조각승(彫刻僧) 단응(端應), 탁밀(卓密)의 조각 기법과 관련 있다.

 

문경시에서는 대승사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국보지정을 위해 전문가 조사와 국내 목각탱화를 비교 분석하여 보고서를 발간한 바 있으며 향후 30일간의 예고 기간 동안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국보로 지정될 예정이다.



 








취재국/김승진 기자 기자 newsgb@naver.com
Copyright @2014 뉴스경북 Corp. All rights reserved.

뉴스경북 등록번호 : 경북, 아 00308 | 등록일 : 2014.04.25 | 대표 : 장세연 | 발행인 : 김재원 | 편집인 : 김재원 광고/후원 : 새마을금고 9003-2591-8921-1 뉴스경북(권오한) 경북 안동시 서동문로 156, 801호(서부동) TEL : 054) 842-6262 FAX : 054) 843-6266 | 사업자등록번호 : 580-42-00132 Copyright©2014 뉴스경북 All right reserved. mail to : newsgb1972@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