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8 (금)

  • 흐림속초 28.7℃
  • 흐림철원 29.9℃
  • 흐림동두천 29.3℃
  • 흐림대관령 25.7℃
  • 구름많음춘천 30.8℃
  • 흐림백령도 27.2℃
  • 구름많음북강릉 29.4℃
  • 흐림강릉 30.6℃
  • 구름많음동해 29.5℃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원주 31.2℃
  • 구름조금울릉도 29.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영월 29.5℃
  • 흐림충주 30.5℃
  • 흐림서산 32.9℃
  • 흐림울진 28.1℃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맑음추풍령 29.8℃
  • 구름많음안동 31.2℃
  • 구름많음상주 31.1℃
  • 구름많음포항 28.9℃
  • 구름많음군산 31.2℃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창원 31.6℃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통영 31.9℃
  • 구름조금목포 31.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흑산도 29.0℃
  • 구름조금완도 33.2℃
  • 구름조금고창 32.7℃
  • 맑음순천 30.8℃
  • 구름많음홍성(예) 31.3℃
  • 구름조금제주 31.6℃
  • 구름조금고산 30.4℃
  • 구름조금성산 30.8℃
  • 구름조금서귀포 31.6℃
  • 맑음진주 30.4℃
  • 흐림강화 30.0℃
  • 구름많음양평 29.4℃
  • 구름많음이천 30.1℃
  • 흐림인제 29.1℃
  • 흐림홍천 29.6℃
  • 구름많음태백 29.1℃
  • 구름많음정선군 30.7℃
  • 흐림제천 28.6℃
  • 흐림보은 29.2℃
  • 흐림천안 29.4℃
  • 구름많음보령 33.2℃
  • 구름조금부여 30.6℃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많음부안 32.0℃
  • 구름조금임실 30.4℃
  • 구름조금정읍 33.9℃
  • 구름조금남원 31.5℃
  • 구름많음장수 30.2℃
  • 구름조금고창군 32.3℃
  • 구름많음영광군 31.7℃
  • 맑음김해시 33.0℃
  • 맑음순창군 31.1℃
  • 구름조금북창원 33.0℃
  • 구름조금양산시 33.4℃
  • 맑음보성군 31.8℃
  • 구름조금강진군 31.5℃
  • 구름조금장흥 31.3℃
  • 구름조금해남 32.1℃
  • 맑음고흥 32.3℃
  • 맑음의령군 30.6℃
  • 구름조금함양군 31.4℃
  • 맑음광양시 31.6℃
  • 구름조금진도군 30.8℃
  • 흐림봉화 29.4℃
  • 구름많음영주 30.0℃
  • 구름많음문경 30.2℃
  • 흐림청송군 29.6℃
  • 구름많음영덕 29.8℃
  • 구름많음의성 31.3℃
  • 구름많음구미 31.6℃
  • 구름많음영천 32.3℃
  • 맑음경주시 32.0℃
  • 구름많음거창 30.1℃
  • 맑음합천 32.4℃
  • 맑음밀양 33.0℃
  • 맑음산청 31.5℃
  • 맑음거제 31.0℃
  • 구름조금남해 29.3℃
기상청 제공

경북의 魂, 경북의 힘!

경북도 道 유형문화재 및 자료 등 10건 지정

도내 문화유산의 지속적 발굴과 보존․활용 위해 노력

[경북도=뉴스경북/김승진 기자] 경상북도는 최근 도 문화재위원회(동산분과 제3차 회의, 12. 23)를 열어 ‘포항 오어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을 비롯한 3건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김천 구화사 석조비로자나불조나상’을 비롯한 3건을 문화재자료로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유형문화재로 지정하기로 결정한 3건의 내역을 살펴보면,

 

 

▲ ‘포항 오어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은 중앙의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좌우에 약사불과 아미타불이 협시하고 있는 석가삼존불상이다. 불상 조성과 관련한 문자기록을 잘 구비하고 있으며, 완성도가 높고 18세기 중후반 경북 남부지역 조각승들의 활동상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 ‘여주이씨 수졸당파 문중 전적 및 고문서’는 회재 이언적(晦齋 李彦迪)의 넷째 손자인 수졸당 이의잠(守拙堂 李宜潛)의 후손가에 전해오는 전적(5종 8책) 및 고문서(1매)로 일괄해 문화재적 가치를 지닌다.

 

※ 전적(5종 8책) : ‘속자치통감강목(續資治通鑑綱目)권27)’(1책), ‘두공부칠언율시(杜工部七言律詩)’(1책), ‘회재선생문집(晦齋先生文集) 권1∼13’(4책),‘문원공회재선생연보(文元公晦齋先生年譜)’(1책), ‘영규율수(瀛奎律髓) 권16∼19)’(1책)

※ 고문서 :‘경상도유생응제(慶尙道儒生應製)’(1매)

 

 

▲‘문경 개성고씨 양경공파 문중 전적 및 고문서’는 문경 개성고씨 양경공파 문중에 소장되어 있는 전적(5종 5책) 및 고문서(2종 28매)로일괄해 문화재적 가치를 지닌다.

 

※ 전적(5종 5책) : ‘거가필용사류전집(居家必用事類全集)’(1책), ‘후산시주(后山詩註 권5∼8)’(1책), ‘래부사례(萊府事例)’(1책),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권43∼46’ (1책), ‘이륜행실도(二倫行實圖)’(1책)

※ 고문서 : ‘고세렴팔자녀화회문기(高世廉八子女和會文記)’(1매), ‘소지(所志)’(27매)

 

문화재자료로 지정하기로 결정한 3건의 내역을 살펴보면,

 

 

▲ ‘포항 고석사 석조여래의좌상’은 높이 281㎝, 폭 250㎝ 가량의 암괴에 고부조(高浮彫)로 새겨진 석조여래불상으로, 암면의 턱을 의자삼아 앉아 두 다리를 내려뻗은 의좌(倚坐) 형식이다.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에 조성된 2건의 사례 이외에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돼 현존하는 유일한 의좌상(倚坐像)이라는 점에서 신라 조각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 ‘김천 구화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은 수인(手印)이 오른손을 왼손이 감싼 지권인인데 손가락이 위가 아닌 앞을 향하고 있고, 오른발의 엄지발가락 일부가 노출되도록 표현된 점은 조선 후기 불상에서는 매우 이례적이다. 양식적 특징들은 17세기 후반에 활동한 금문(金文)의 작풍과 유사하며, 법령→혜희․조능→금문 등으로 이어진 조각승 유파의 특징이 발현된 조선 후기의 작품으로서 자료적 가치가 있다.

 

 

▲ ‘의성 진민사 소장 고문서’는 의성김씨 오토재 종중과 지역민이 진민사를 설립해 현재까지 제향하고 있는 일괄(133점)의 관련 문서이다. 이들 문서는 조선 중기부터 근현대까지 작성된 것으로 내용상 가장 이른 것은 16세기 후반의 기록이다. 문서 특징은 시기적 단절 없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기록문화유산으로서의 의미가 있으며, 한 문중에서 장기간에 걸쳐 향사와 문중 관련 문서를 수장해 온 것은 매우 희귀한 사례이다.

 

이상과 같이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해 도 유형문화재 및 문화재자료로 지정하기로 결정했으며, 상기 문화유산이 지정고시 절차를 거쳐 문화재로 지정되면 경북의 문화재는 총 2,033점(국가지정 700, 도지정 1,333)이 된다.

 

아울러, 경상북도는 이날 문화재위원회에서 ‘안동 임계계회도’, ‘김한계 조사문서’, ‘청도 운문사 소조비로자나불좌상’, ‘예천 오천서당록’등 4건을 유형문화재 지정대상으로 선정했다. 이번에 지정대상으로 선정된 4건의 문화유산은 지정예고 절차를 거쳐 차기 문화재위원회에서 지정을 확정할 예정이다.

 

서 원 경상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전국 최고․최다의 문화재를 보유한 광역자치단체로서의 위상에 걸 맞는 최상의 보존․관리 시스템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지속적으로 문화유산의 발굴 및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한편, 도지정문화재를 국가지정문화재로 승격시킴으로써 예산절감과 동시에 지역 문화재의 위상을 제고해 나갈 계획이다”고 밝혔다.<사진.자료제공/문화유산과>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