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3 (토)

  • 구름많음속초 18.4℃
  • 구름조금철원 23.5℃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대관령 20.9℃
  • 구름조금춘천 24.1℃
  • 구름많음백령도 14.6℃
  • 구름많음북강릉 24.7℃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동해 24.6℃
  • 구름많음서울 24.5℃
  • 구름조금인천 22.8℃
  • 맑음원주 24.9℃
  • 맑음울릉도 18.0℃
  • 맑음수원 24.5℃
  • 맑음영월 26.2℃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울진 18.3℃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안동 25.6℃
  • 맑음상주 26.5℃
  • 맑음포항 27.2℃
  • 맑음군산 24.7℃
  • 맑음대구 26.1℃
  • 맑음전주 26.7℃
  • 맑음울산 22.5℃
  • 맑음창원 22.8℃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통영 18.5℃
  • 맑음목포 23.0℃
  • 맑음여수 19.9℃
  • 맑음흑산도 20.9℃
  • 맑음완도 23.9℃
  • 맑음고창 25.3℃
  • 맑음순천 23.0℃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많음성산 20.1℃
  • 구름많음서귀포 20.3℃
  • 맑음진주 23.1℃
  • 구름조금강화 22.5℃
  • 구름조금양평 23.1℃
  • 맑음이천 25.1℃
  • 구름조금인제 23.1℃
  • 구름조금홍천 24.7℃
  • 맑음태백 23.4℃
  • 구름조금정선군 24.9℃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부안 25.4℃
  • 맑음임실 24.8℃
  • 맑음정읍 25.8℃
  • 맑음남원 26.2℃
  • 맑음장수 24.6℃
  • 맑음고창군 25.7℃
  • 맑음영광군 25.2℃
  • 맑음김해시 23.5℃
  • 맑음순창군 24.6℃
  • 맑음북창원 25.3℃
  • 맑음양산시 24.4℃
  • 맑음보성군 22.2℃
  • 맑음강진군 22.8℃
  • 맑음장흥 21.4℃
  • 맑음해남 24.3℃
  • 맑음고흥 22.9℃
  • 맑음의령군 26.6℃
  • 맑음함양군 27.1℃
  • 맑음광양시 23.0℃
  • 맑음진도군 20.6℃
  • 맑음봉화 24.8℃
  • 맑음영주 24.1℃
  • 맑음문경 25.2℃
  • 맑음청송군 26.8℃
  • 맑음영덕 23.4℃
  • 맑음의성 27.1℃
  • 맑음구미 26.7℃
  • 맑음영천 26.5℃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창 26.8℃
  • 맑음합천 26.4℃
  • 맑음밀양 26.5℃
  • 맑음산청 24.5℃
  • 맑음거제 21.0℃
  • 맑음남해 22.8℃
기상청 제공

경북의 魂, 경북의 힘!

‘삼국사기’ 등 4건 대구광역시지정문화재로 지정!

문화재위원회에서 신규 지정, 1월 31일(화) 고시

뉴스경북=김승진 기자

NEWSGB

대구시/문화재 신규 지정

사진.자료제공/문화유산팀

 

 

 

대구시는 ‘삼국사기’, ‘북정록’, ‘이수충가 소장 전적’ 등 3건의 유형문화재와 1건의 무형문화재 보유자 인정(판소리 주운숙) 등 총 4건을 대구광역시지정문화재로 지정했다.

 

이번 지정된 신규 문화재는 대구광역시 문화재위원회 분과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하고 30일간의 예고 기간을 거쳐 2017년 1월 19일(목) 문화재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지정이 최종 결정되어 2017년 1월 31일 고시한다.

 

유형문화재 제79호 ‘삼국사기’는 고려 인종의 명으로 김부식 등이 편찬한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의 역사서로, 1711년 숙종이 아들이자 후에 영조(英祖)가 되는 연잉군(延礽君, 1694-1776)에게 하사한 내사기(內賜記)가 있어 분명한 간행연도를 알 수 있다.

 

 

  ▲ ▼삼국사기(1711. 금속활자본)

 

 

 

이 책은 조선시대 5차례 있었던 삼국사기 간행 중 마지막에 있었던 18세기의 현종실록자(1677년『현종실록』을 인출하기 위해 만든 동활자)로 간행한 책으로 전래본이 비교적 많으나, 영조가 소장한 서책이었다는데 중요한 학술적 의의가 있다.

 

유형문화재 제80호 ‘북정록’은 신유(申瀏, 1619-1680)가 조선 효종 때 제2차 나선(Russian)정벌의 조선군 사령관으로 참전했을 때인 1658년 4월6일부터 8월27일까지 115일간 기록한 원정일기의 원본이다.

 

 

   ▲ ▼북정록 필사본(1658)

 

 

 

조선시대 해외파병 관련 기록으로 외교와 군사연구의 중요한 문헌일 뿐만 아니라, 출정의 전말, 각지에서 차출된 명단, 날짜별 날씨·행군‧야영·러시아군과 벌인 전투상황 및 부하의 상태 등을 기록한 점에서 국방과 관련된 자료로써 학술적 가치가 높다.

 

유형문화재 제81호 ‘이수충가 소장 전적’은 집안에 전해진 책, 『비아(埤雅)』, 『이아주소(爾雅註疏)』, 『퇴도선생일기(退陶先生日記)』와 한시 원고 등 4종 21점이다.

 

『비아(埤雅)』는 297개 사물의 명칭에 대해 설명한 책으로 조선 전기에 간행된 금속활자본이다.

 

 

  ▲비아20권5책▼이아주소11권5책

 

 

 

『이아주소(爾雅註疏)』는 중국의 유의어 사전인『이아(爾雅)』의 해설서로 조선 전기에 간행된 금속활자본이다. 인출 및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금속활자본으로는 유일한 책으로 희귀한 가치를 가진다. 또한『비아』와『이아주소』는 퇴계선생의 장서인이 찍힌 수택본(手澤本)으로 후손의 가전(家傳) 경위가 묵서되어 있어 책의 소장자와 전래경위를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

 

  ▲퇴도선생일기

 

『퇴도선생일기(退陶先生日記)』는 임인년(1542), 계묘년(1543), 갑진년(1544) 3년 동안 퇴계 이황의 일기를 한 책으로 묶은 것으로, 후대에 후손이 필사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사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퇴계 이황의 일상사를 기록한 생활일기 가운데 남아있는 유일본이고, 또 그 내용 중에는 퇴계의 암행어사 활동 내용이 서술되어 있는 기존의 퇴계 연보를 보완할 수 있는 중요한 내용을 담고 있다는 에서 학술적 가치가 높다.

 

   ▲전 학봉 시고

 

한시 원고인『전 학봉 시고(傳 鶴峰 詩稿)』는 작품의 희소성, 글씨체의 독특성, 작품의 수준 등 여러 면에서 가치가 있다.

 

무형문화재 제8호 ‘판소리’<춘향가>, <심청가>, <흥보가>, <수궁가>, <적벽가> 등 다섯 바탕이 전승되고 있다.

 

 

그 중 대구지역 판소리 저변확대에 노력하고 있는 주운숙씨가 연행하는 동편제 판소리 <심청가>는 전통 판소리의 발성과 가락 진행 및 수준 높은 공연력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에 주운숙(63세)을 무형문화재 보유자로 인정했다.

 

대구시 한만수 문화예술정책과장은 “이번 지정으로 총 260건의 문화재가 지정됐다”며 “향후 지속적인 문화유산의 발굴과 조사를 통해 유무형의 문화재를 후손에게 널리 전승하고 지역 문화발전에 모든 지혜와 역량을 모아 나가겠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