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경북=김승진 기자
NEWSGB PRESS
경북도/ ‘동구선생문집’ 국역판(상․하) 20여권 경북도에 증정
사진.자료제공/사회복지과
경상북도는 지난해 연말 독립운동가의 산실 임청각의 2대 손인 동구 이준형 탄신 140주년을 맞아 이준형 선생의 유지와 독립운동의 발자취가 담긴 ‘동구유고’ 국역판을 안동시와 국무령이상룡기념사업회(이하 ‘기념사업회’)와 공동으로 발간했다.
‘동구유고’는 동구 이준형 선생의 서간문 및 시문 등 1,000여부를 정리해 1996년 손자 이항증이 한문본으로 발간한 것이다.
동구 이준형(1875.9.2.~1942.9.2.)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지낸 석주 이상룡의 외아들이며, 석주 이상룡 일가는 경북에서 가장 많은 9명의 독립운동 유공자를 배출한 명문가이다.
동구 이준형은 1909년 대한협회 안동지회 설립 당시 사무책임자로 참여했고, 1911년 1월경 부친 이상룡을 따라 만주로 망명해 경학사 설립에 힘을 쏟았다.
또한, 1919년 한족회와 서로군정서 조직에 주도적으로 참여했고, 1924년에는 정의부 설립에도 참여했다.
이후 1932년 부친이 세상을 떠나자 고향 안동으로 돌아와 구국 운동을 이어가다가 ‘하루를 더 살면 하루 더 친일하게 된다’는 유언을 남기고 1942년 9월 2일 자결했다.
이와 관련해 기념사업회에서는, 지난 14일 오전 동구선생의 헌신적인 독립운동역사를 널리 알리기 위해 임시정부 국무령을 지낸 석주 이상룡의 증손 이항증 前 광복회 경북지부장과 이동일 광복회경북지부장 등이 경북도를 방문해 ‘동구선생문집’ 국역판(상․하) 20여권을 증정했다.
이재일 경상북도 복지건강국장은 감사의 말씀을 전하며 “동구 이준형 선생의 삶과 사상, 그리고 독립운동의 행적이 지금이라도 소상하게 국역으로 발간돼 도민의 자긍심을 높였다”며,
“동구 이준형 선생의 독립운동을 재조명하고 널리 알리는 일은 경북의 혼과 경북의 정체성 확립에 걸맞는 중요한 일로서 경북도에서도 많은 홍보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참고자료>
1. 독립운동가 이준형(李濬衡 1875.9.2~1942.9.2)
본관은 고성(固城). 이명은 이재섭(李在燮)ㆍ이중조(李中組)ㆍ이동고(李東皐). 자는 문극(文極). 호는 동구(東邱). 출신지는 안동면(安東面) 법흥동(法興洞: 현 안동시 법흥동) 30번지. 이준형은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을 지낸 석주 이상룡(石洲 李相龍)의 아들이다.
1909년 대한협회 안동지회(大韓協會 安東支會) 설립에 사무책임자로 참여하였다. 1911년 1월경 부친 이상룡을 따라 만주(滿洲)로 망명하여, 경학사(耕學社) 설립에 참여하였다. 그러나 경학사가 재정곤란으로 어려움을 겪자, 군자금 마련을 위해 국내로 귀국하여 예천의 이규홍(李圭洪)에게서 군자금을 마련하여 다시 만주로 넘어갔다. 1919년 부민단을 확대 발전시켜 한족회(韓族會)를 조직하는데 주도적으로 참여하였고, 또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ㆍ정의부(正義府)의 설립에도 아버지 이상룡과 함께 참여하였다.
1923년 8월 이준형(1923년 한족노동당 창립시 이준형은 李在燮이란 이명을 사용)은 이광민(李光民)ㆍ김응섭(金應燮) 등과 함께 한족노동당을 창립한 후 간부로 활동하였다. 1928년 중공당(中共黨) 만주성위원회(滿洲省委員會) 반석현책임자(磐石縣責任者)로 활동하다가, 1932년 고향 안동으로 돌아와 구국운동을 전개하다가 1942년 9월 2일 국운을 비관하여 자결하였다. 묘는 대전현충원에 있다.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
▣ 백하일기, 고등경찰요사, 석주유고, 동구유고, 국외용의조선인명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