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시, 6월 15일 한국전력기술(주) 박구원 사장 면담 – 탈원전 정책 논의
뉴스경북=김승진 기자
김천시/정부의 탈원전 정책 선언에 한국전력기술(주) 이주한 김천혁신도시 술렁
사진.자료제공/균형개발사업단
새 정부가 원자력-화력에서 탈피하겠다는 에너지 정책을 밝히면서 한국전력기술(주)을 비롯한 한국전력공사, 한전 KPS의 타격이 예상을 뛰어 넘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김천혁신도시로 이전한 한국전력기술은 지난 1분기 기준 1조 2천억원의 수주 잔고를 보유하고 있지만 이 가운데 80% 이상이 원자력 및 원자로 설계 관련 수주로 원전사업에 매출을 크게 의존하고 있어 회사 운영 차질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전력기술은 정부의 방침에 따라 원자력발전소 건설을 중단하게 되면 2017년도 매출을 3,797억원 전망하여 지난해 보다 21.4% 줄어 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사내 분위기는 물론, 긴장감이 역력하다고 전했다.
지난 참여정부 시절 국가균형발전의 목적으로 전국에 혁신도시가 건설되면서 2007년 김천혁신도시 건설과 함께 한국전력기술도 지방으로 이전하게 되었다.
김천혁신도시 내 13개 이전공공기관 중 가장 규모가 크고,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한국전력기술의 위기는 곧바로 김천혁신도시 발전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김천혁신도시를 지역 성장 거점으로 발전시키겠다는 김천시의 야심찬 계획은 이번 탈원전 정책과 한국전력기술의 위기에 당혹감을 감출 수 없지 않느냐는 볼멘 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다.
박보생 김천시장은 “전 세계적인 탈원전, 탈핵 시대에 우리나라도 반드시 동참해야 합니다. 하지만 전력수급 문제, 대체 에너지 개발 등 신중하게 고려해야 할 것들이 많습니다. 한국전력기술의 이번 위기는 우리시와 동반성장을 준비하고 있는 두 기관뿐만 아니라 김천혁신도시 발전에도 위기이며, 한국전력기술이 원전 해체 전담 기관으로 지정되는 등 정부의 관심이 필요하다는 것을 강력히 건의했다”고 밝혔다.
▼김천시, 6월 8일 국토교통부(공공기관지방이전추진단) 방문 – 한전기술 문제 등 현안 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