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경북=김승진 기자] 경상북도는 지난 7월 1일(토)부터 7월 5일(수)까지 4박5일 일정으로 프랑스 라페루즈(Lapérouse) 협회 관계자들을 초청해,
라페루즈 탐험대가 1787년 5월 28일 울릉도를 발견해 서양에 처음 소개한지 230년이 되는 해에 울릉도의 역사적 의미를 재조명하고 상호 교류의 상징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뜻깊은 시간을 가졌다.
라페루즈 백작은 탐험대를 이끈 프랑스 해군 장교이자 탐험가로서 루이16세의 명을 받아 1785년 2척의 함선을 끌고 태평양 탐험을 시작해 1787년(조선 정조11년)에 대한해협을 거쳐 동해를 항해하며 우리나라 해안을 직접 관찰 한 후 과학적으로 측량해 서양에 처음으로 다즐렛(Dagelet)이란 명칭으로 울릉도를 알린 인물이다.
18세기 서구사회의 미지의 세계에 대한 탐험과 태평양 항로 개척을 목적으로 시작된 라페루즈 탐험대의 활동은 한반도 근해 최초의 해양 조사라는 의미와 함께 울릉도가 서구사회에 최초로 알려지는 계기가 됐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미가 크다.
경북도는 라페루즈 협회 일행을 초청해, 7월 2일과 3일 양일간 당시 라페루즈 탐험대의 발자취를 따라 울릉도 해안지역 답사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울릉도․독도해양과학기지를 방문하는 등 역사적 사실을 재조명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또한, 7월 4일에는 신라 천년의 숨결이 간직된 경주를 방문해 신라해상제국의 위대한 해양교류사를 재조명하며 상호 이해와 교류의 초석을 다질 계획이다.
쟝 마리 페스텔 라페루즈 협회장은 “이번 방문이 첫 한국 방문인 만큼 라페루즈와 깊은 관계가 있는 울릉도 탐사가 더욱 의미가 깊다”고 전하며, 감사의 뜻을 전하기 위해 라페루즈 제독 기념 주물을 울릉도․독도해양과학기지에 기증했다. 또한, “향후 프랑스와 한국간의 국제교류의 활성화와 역사적 발굴을 위한 상호교류에 더욱 힘쓰겠다”고 약속했다.
김남일 경상북도 일자리민생본부장은, “라페루즈 탐험대의 울릉도 탐사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재조명 하고, 이를 교육자원으로 적극 개발해 울릉도의 역사적 위상을 드높이겠다”고 강조하고,
“이번 라페루즈 협회 관계자의 방문을 통해 양국의 우호가 더욱 돈독해 지길 바라며, 2018년에는 한-불 국제교류 우호비를 울릉도․독도해양과학기지에 설치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울릉군/프랑스 라페루즈 협회 관계자 울릉도 방문
사진.자료제공/글로벌통상협력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