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2 (토)

  • 흐림속초 28.7℃
기상청 제공

지역뉴스

경북도, 어업인․유관기관 합동 적조방제 훈련실시

적조의 선제적 대응과 어업인 피해 최소화를 위한 합동방제 훈련




[뉴스경북=김승진 기자] 경상북도는 4() 오후2시 포항시 영일신항만 앞 해상에서 해양수산부, , 포항해양경비안전서, 수협, 어업인 등 관계기관이 참석한 가운데, 가상 고밀도 적조띠 출현에 따른 합동방제 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적조방제 훈련은 유해성 적조출현에 대비한 상황전파, 출동태세와 장비운용 상태를 점검하고, 육상해상(관공선, 어선)항공(헬기) 등 예찰기능, 현장검경 활동, 공용방제 장비를 이용한 선제적 방제작업과 어선이 참여한 민관 합동 황토살포 방제작업에 중점을 두고 있다.

 

훈련은 조업 중인 어선에서 가상 고밀도 적조띠 신고접수로 시작해 어업기술센터의 취수, 검경 예찰보고, 적조 발생정보 상황전파, 관공선 3, 해경방제선 1, 어선 10, 전해수 황토살포기 설치 전용바지선 1척을 동원한 합동황토 살포 방제활동 등 실전을 방불케 하는 현장대응 훈련을 실시했다.

 

국립수산과학원 발표에 따르면, 2016년도는 양자강의 저염분수 유입에 따라 유해성 적조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올해는 적조의 유입이 하절기 고수온과 더불어 빠르면 관내 수역에 7월 중순에도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하고 있다.

 

경북도는 적조발생 사전 대응으로 사업비 473백만원을 투입해 방제장비(액화산소 88, 여과기 12, 순환펌프 1,320, 동원어선 55, 황토적치장 10개소, 25천톤)를 확보했으며, 양식어류 사육현황(120개소, 강도다리, 조피볼락, 넙치, 참돔, 노래미,해삼, 전복 등 21,216천마리) 조사를 마쳤다.

지난 2015년의 경우 경북에서는 유해성 적조가 43일간 지속되면서 양식장 10개소에서 약 273천만리의 어패류가 폐사돼 221백만원의 피해가 발생 했으나, 전국 대비(52억원) 4.2%정도로 피해를 최소화한 것은 양식수산물 재해보험 가입, SNS(카톡, 밴드) 활용 등 선제적 방제대응이 피해를 줄인 효과로 나타났다.

 

김경원 경상북도 동해안발전본부장은 적조는 자연재해로 막을 수는 없겠지만 어업피해 최소화를 위해 기관별 역할분담과 어업인들 스스로의 철저한 사전 준비가 필요하다, “적조 발생 시 즉시 대응 할 수 있도록 유관기관 협조체제를 강화하고, 단계별 매뉴얼에 의한 대비태세를 확립해 나가겠다고 했다.



적조예보 종류 및 발령기준


종 류

규 모

적조생물 밀도(개체/)

비 고

적조생물 출 현

주 의 보

적조 생물의 출현

밀도가 증가하여,

적조발생 가능성이

예상될 때

편조류:종의 세포크기와 독성도에 따라 결정

- Cochlodinium polykrikoides : 10이상

- Chattonella spp. : 1,000 이상

- Gyrodinium sp. : 200 이상

- Karenia mikimotoi : 500 이상

- 기타 편모조류 : 10,000 이상

규조류:20,000 이상

혼합형:편조가 50% 이상일 때 20,000 이상

 

 

 

 

수과원장은 적조생물의 특성이나 해황에 따라 피해가 우려될 경우 적조 규모 및 밀도에 관계없이 적조예보를 발령할 수 있음.

 

적조규모와 밀도는 현지 상황과 적조생물에 따라 변할 수 있음.

 

수과원장은 적조의 진행과 변화정보(유해종의 출현, 이동확산)의 전파 및 어업피해 방지에 관한 조치가 필요할 때 적조속보를 발령할 수 있음.

 

적 조

주의보

반경 25

(1279)

수역에 걸쳐

발생하고 어업

피해가 우려될

편조류:종의 세포크기와 독성도에 따라 결정

- Cochlodinium polykrikoides : 100이상

- Chattonella spp. : 2,500 이상

- Gyrodinium sp. : 500 이상

- Karenia mikimotoi : 1,000 이상

- 기타 편모조류 : 30,000 이상

규조류:50,000 이상

혼합형:편조가 50% 이상 때 40,000 이상

 

적조경보

반경 5(79)

이상 수역에

걸쳐 발생하여

상당한 어업

피해가 예상될

편조류:종의 세포크기와 독성도에 따라 결정

- Cochlodinium polykrikoides : 1,000이상

- Chattonella spp. : 5,000 이상

- Gyrodinium sp. : 2,000 이상

- Karenia mikimotoi : 3,000 이상

- 기타 편모조류 : 50,000 이상

규조류:100,000 이상

혼합형:편조가 50% 이상일 때 80,000 이상

적조해제

적조가 소멸되어 어업피해 위험이 없고 수질이 정상상태로 회복했을 때




경북도/어업인․유관기관 합동 적조방제 훈련실시

사진.자료제공/행양수산과


    




 







네티즌 의견 0

스팸방지
0/300자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