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경북=김승진 기자] 경상북도는 유교문화와 선비정신이 담겨있고 전통문화의 정수인 종가 유물 중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유교책판(목판)과 고서를 도청 로비에 전시해 문화경북의 위상을 높였다.
이번 전시는 도내 종가에서 한국국학진흥원으로 기탁한 유물 중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 된 유교책판(목판)과 고서로, 국보 제132호 ‘징비록’, 보물 제917호 ‘배자예부운략’, 보물 제1895호 ‘퇴계선생문집’등 경북의 우수한 종가 유물 16점을 전시했다.
경북도는 전국 800여개의 종가 중 30%에 달하는 241개 종가가 오랜 세월 속에서도 면면히 전통문화를 계승 보존해 오면서 수많은 인물을 배출해 역사의 고비마다 큰 역할을 하는 기틀이 됐으며, 종가 유물은 지역을 넘어 한국 문화의 자산이자 자랑이라 할 수 있다.
유네스코가 지정한 우리나라의 세계기록유산은 훈민정음, 조선왕족실록, 유교책판 등 13건을 보유하고 있다. 이 중 한국국학진흥원이 소장한 유교책판은 조선시대 유학자들이 저작물을 간행하기 위해 나무판에 새긴 책판으로 305개의 문중과 서원 등에서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한 718종 6만4226장으로 구성돼 있다.
박성수 경상북도 자치행정국장은 “유네스코 지정 세계기록유산이기도 한 종가 유물은 숱한 역경을 넘기고 오늘까지 잘 보존한 귀중한 유산들로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연결하는 민족의 혼이자 우리의 자산이다”며,
“이번 전시를 통해 종가 유물에 대한 아름다움과 가치를 다시 한 번 확인하고 신청사를 찾는 방문객이 역사의 발자취를 보고, 느끼고, 소통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기를 바란다”고 했다.
이번 전시회는 9월10일까지 상시전시된다
전시유물 현황
연번 | 유물명 | 수량 | 문중명(목판) | 문화재 지정 | 비고 |
1 | 懲毖錄 (징비록) | 고서 목판 | 풍산류씨 충효당 | 국보 제132호 |
|
2 | 排字禮部韻略 (배자예부운략) | 〃 | 청도 밀양박씨 선암문중 | 보물 제917호 |
|
3 | 退溪先生文集 (퇴계선생문집) | 〃 | 도산서원 | 보물 |
|
4 | 永嘉誌圖 (영가지도) | 〃 | 안동권씨 복야공파 길송문중 | 유형문화재 제224호 |
|
5 | 聖學十圖 (성학십도) | 〃 | 풍산류씨 충효당 | - |
|
6 | 貞夫人安東張氏鶴髮詩 (정부인안동장씨학발시) | 〃 | 재령이씨 후계파 | - |
|
7 | 漁父歌 (어부가) | 〃 | 영천이씨 농암종택 | - | 한글 |
8 | 易學圖說 (역학도설) | 〃 | 인동장씨 여헌종택 | - |
|
경북도/경북의 종가 유물(세계기록유산) 화려한 나들이
사진.자료제공/청사운영기획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