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18 (화)

  • 맑음속초 -2.6℃
  • 맑음철원 -7.3℃
  • 맑음동두천 -4.9℃
  • 맑음대관령 -8.9℃
  • 맑음춘천 -4.3℃
  • 맑음백령도 -0.7℃
  • 맑음북강릉 -1.5℃
  • 맑음강릉 -1.1℃
  • 맑음동해 -0.9℃
  • 맑음서울 -3.9℃
  • 맑음인천 -3.4℃
  • 맑음원주 -2.1℃
  • 울릉도 -0.6℃
  • 맑음수원 -3.8℃
  • 맑음영월 -3.9℃
  • 맑음충주 -3.6℃
  • 맑음서산 -2.3℃
  • 맑음울진 -1.4℃
  • 맑음청주 -2.5℃
  • 구름많음대전 -2.7℃
  • 구름조금추풍령 -3.8℃
  • 구름조금안동 -3.9℃
  • 맑음상주 -2.8℃
  • 구름조금포항 -0.1℃
  • 구름조금군산 -3.5℃
  • 맑음대구 -1.1℃
  • 맑음전주 -1.6℃
  • 맑음울산 -1.0℃
  • 구름조금창원 0.1℃
  • 맑음광주 -1.0℃
  • 구름조금부산 0.7℃
  • 구름많음통영 0.7℃
  • 흐림목포 0.1℃
  • 구름많음여수 -0.9℃
  • 흐림흑산도 1.5℃
  • 구름많음완도 0.0℃
  • 흐림고창 -1.5℃
  • 구름많음순천 -3.0℃
  • 맑음홍성(예) -2.6℃
  • 흐림제주 3.5℃
  • 흐림고산 3.4℃
  • 흐림성산 2.8℃
  • 흐림서귀포 4.7℃
  • 구름많음진주 -1.2℃
  • 맑음강화 -3.4℃
  • 맑음양평 -2.8℃
  • 맑음이천 -3.5℃
  • 맑음인제 -4.3℃
  • 맑음홍천 -3.5℃
  • 맑음태백 -7.5℃
  • 맑음정선군 -5.0℃
  • 맑음제천 -4.4℃
  • 구름조금보은 -3.0℃
  • 맑음천안 -2.9℃
  • 구름조금보령 -2.2℃
  • 구름많음부여 -2.0℃
  • 맑음금산 -3.1℃
  • 구름조금부안 -1.6℃
  • 맑음임실 -3.7℃
  • 구름많음정읍 -3.0℃
  • 흐림남원 -4.6℃
  • 맑음장수 -5.2℃
  • 구름많음고창군 -1.3℃
  • 흐림영광군 -0.3℃
  • 구름조금김해시 -0.7℃
  • 구름조금순창군 -2.3℃
  • 구름조금북창원 0.9℃
  • 구름조금양산시 0.5℃
  • 구름많음보성군 -1.2℃
  • 구름많음강진군 0.0℃
  • 구름많음장흥 -0.6℃
  • 구름많음해남 0.4℃
  • 구름조금고흥 -2.7℃
  • 맑음의령군 ℃
  • 맑음함양군 -2.7℃
  • 구름많음광양시 -1.7℃
  • 흐림진도군 0.8℃
  • 맑음봉화 -6.3℃
  • 맑음영주 -3.3℃
  • 구름조금문경 -2.9℃
  • 맑음청송군 -5.4℃
  • 맑음영덕 -1.1℃
  • 맑음의성 -6.5℃
  • 맑음구미 -3.8℃
  • 맑음영천 -2.1℃
  • 구름조금경주시 -1.1℃
  • 맑음거창 -4.2℃
  • 맑음합천 -0.9℃
  • 맑음밀양 -0.5℃
  • 맑음산청 -2.5℃
  • 구름많음거제 0.9℃
  • 구름많음남해 -0.2℃
기상청 제공

국립국어원, '효꽈', '관껀', '교꽈'로 발음하세요~


국립국어원은 현재 사용하는 말의 의미와 용법이 다른 것들을 바로잡고 표제어를 추가·삭제한 표준국어대사전 수정 내용 40건을 3일 발표했다.


'기다래지다'가 표준어로 인정됨에 따라 '거짓말을 한 피노키오의 코가 기다래졌다'로 쓸 수 있게 됐다.'이보십시오'가 표제어에 추가되면서 '이보세요', '이보쇼', '이보시게', '이봅시오', '이봐요' 등도 함께 표준어로 인정됐다.


접두사 '기'에는 '그것이 이미 된', '그것을 이미 한'이라는 뜻이 더해졌고, '노랫말을 고치거나 다시 짓다'라는 의미의 명사 '개사'(改詞)도 국어대사전에 등재됐다.


'올라오다'에는 '컴퓨터 통신망이나 인터넷 게시판 따위에 글이 게시되다'라는 뜻풀이가 추가됐다.


'미망인' 뜻풀이도 수정됐다. 지금까지는 '아직 따라 죽지 못한 사람이란 뜻으로, 남편이 죽고 홀로 남은 여자를 이르는 말'이라고 설명했으나, '남편을 여읜 여자'로 뜻풀이가 바뀌었다.

'아직 따라 죽지 못한 사람이라는 뜻으로, 다른 사람이 당사자를 미망인이라고 부르는 것은 실례가 된다'는 각주도 함께 달렸다.


'효과'는 '효꽈', '관건'은 '관껀', '교과'는 '교꽈'로도 읽을 수 있게 됐다.


아울러 '안깐힘'만 인정됐던 '안간힘'의 발음에는 '안간힘'이 더해졌고, '순니익'으로만 말하게 돼 있었던 '순이익'의 발음에 '수니익'이 추가됐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