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0 (화)

  • 맑음속초 17.2℃
  • 구름조금철원 17.2℃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대관령 17.3℃
  • 구름많음춘천 16.3℃
  • 흐림백령도 10.7℃
  • 맑음북강릉 19.4℃
  • 맑음강릉 20.3℃
  • 맑음동해 18.2℃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구름많음원주 17.5℃
  • 맑음울릉도 16.4℃
  • 맑음수원 17.4℃
  • 구름많음영월 17.4℃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구름조금울진 17.3℃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구름조금안동 18.5℃
  • 구름조금상주 17.7℃
  • 맑음포항 19.5℃
  • 맑음군산 17.8℃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창원 20.6℃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통영 18.4℃
  • 맑음목포 18.7℃
  • 맑음여수 16.8℃
  • 맑음흑산도 17.4℃
  • 맑음완도 20.4℃
  • 맑음고창 18.4℃
  • 맑음순천 17.8℃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맑음성산 18.6℃
  • 맑음서귀포 19.0℃
  • 맑음진주 17.7℃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많음양평 16.0℃
  • 구름많음이천 16.7℃
  • 맑음인제 17.4℃
  • 구름많음홍천 17.2℃
  • 구름조금태백 19.4℃
  • 구름조금정선군 18.1℃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부안 18.0℃
  • 맑음임실 18.3℃
  • 맑음정읍 18.9℃
  • 맑음남원 17.3℃
  • 맑음장수 18.3℃
  • 맑음고창군 19.2℃
  • 맑음영광군 19.3℃
  • 맑음김해시 19.6℃
  • 맑음순창군 17.5℃
  • 맑음북창원 19.3℃
  • 맑음양산시 20.7℃
  • 구름조금보성군 18.4℃
  • 맑음강진군 18.7℃
  • 맑음장흥 18.9℃
  • 맑음해남 19.5℃
  • 맑음고흥 19.5℃
  • 맑음의령군 19.0℃
  • 맑음함양군 17.8℃
  • 맑음광양시 19.4℃
  • 구름조금진도군 18.8℃
  • 구름조금봉화 17.8℃
  • 구름조금영주 17.6℃
  • 구름조금문경 17.2℃
  • 구름조금청송군 20.2℃
  • 구름조금영덕 20.5℃
  • 맑음의성 19.6℃
  • 맑음구미 20.0℃
  • 맑음영천 19.3℃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창 18.3℃
  • 구름조금합천 18.0℃
  • 구름조금밀양 20.1℃
  • 맑음산청 18.2℃
  • 맑음거제 19.7℃
  • 맑음남해 17.1℃
기상청 제공

[뉴스경북/기고문] 쌀 Day로 쌀 소비운동 신토불이로 힐링 합시다

[칼럼/기고문]

 

쌀 Day로 쌀 소비운동 신토불이로 힐링 합시다.

 

 

                     최 하 탁

                                                             영덕군청 농정과 주무관

 

 

“데이 마케팅(Day Marketing)”이라 하여 달력에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각급 생산자단체나 지방자치단체들이 오래전부터 농산물과 유사한 발음이 나는 특별한 날을 지정하여 그 농산물의 집중적인 판촉 운동으로 소비를 촉진, 신토불이로 힐링하자고 외치고 있다.

 

특히, 쌀과 관련된 날을 보면 “쌀Day”라 하여 ‘미(米)자를 풀어 써 팔(八) + 십(十) + 팔(八)’ 즉 8월 18일을 전라남도에서 최초로 시작하여 우리의 주식인 쌀 소비 운동을 펼치고 있다.

 

또, 11월 11일은 “가래떡Day”로 ‘농기구 이름 가래에서 유래된 설’과 ‘떡이나 엿처럼 둥글고 길게 늘려 만든 토막이라는 뜻으로 가래라는 말이 쓰인 가래떡 설’도 있다. 그러나 이날은 농업인의 날을 맞아 국민들의 관심과 쌀 소비 촉진을 도모하기 위해 농림축산식품부가 공식 지정한 날이다.

 

최근 FTA(자유무역협정) 확대와 쌀 시장 전면개방(관세화) 방향에 따른 우리 신토불이 농산물이 크게 위협을 받고 있다.

 

최근 일부 농산물의 가격하락으로 가득이나 농심들이 편치 못한 상황이다. 그러나 ‘위기를 기회로 삼아야 한다’라고 가만히 있을 수는 없다. 친환경농산물이나 GAP(우수농산물) 등 고품질의 제철 농축산물을 생산하여 소비자들에게 다가가는 「신토불이 소비 운동」을 시기별로 추진하는 것도 한 방법이리라.

 

데이 마케팅에는 쌀과 관련된 것 외에도 인삼데이(매월23일), 삼겹살데이(3월 3일), 오이데이(5월 2일), 유기농데이(6월 2일) 등등 많다.

 

농업은 먹거리 산업으로 모든 산업의 근본이다.

 

우리의 신토불이 농산물 소비를 촉진하고 가공품 개발 등 6차 산업으로 육성 발전시켜 힐링하는 건강한 삶으로 행복을 누릴 수 있어야 한다. 농업인과 소비자 모두 함께 노력하여 힘을 모을 때 충분히 이겨나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신토불이 농축산물별 소비의 날 지정 현황

명칭

지정일

지 정 유 래

최초지정

지정기관단체

인삼 데이

매월 23일

○매월 23일로 지정, 22일 오후 3시부터 23일 오후 3시까지 24시간동안만 ‘실재 택배가 발송되는 일’을 기준으로 전품목이 10% 다운되어 판매

2013년

(5. 23)

한국 인삼 유통공사

삼겹살 데이

3. 3

3이 겹치는 3월 3일을 달리 이르는 말로 양돈 농가의 소득을 늘리기 위하여 삼겹살을 먹는 날

축협

오이 데이

5. 2

○숫자로 쓰면 52(오이)가 된다는 데서 나온 말로, 오이 농가의 소득을 늘리기 위하여 오이를 먹는 날

농촌진흥청

오삼(五三) 데이

5. 3

○오징어와 삼겹살이 들어간 오삼불고기를 먹는 날

유기농 데이

6. 2

○친환경농산물의 소비촉진을 위해 가 지정

2011 제17차 IFOM 세계 유기농대회 슬로건과 같은 '유기농은 생명이다'란 슬로건으로 제6회 행사를 개최 - 환경농업단체연합회가 주관하고 농림수산식품부, 농촌진흥청, 농협중앙회가 후원

2006년

(사)전국 친환경농업 단체연합회

육포 데이

6. 4

○장흥한우 소비촉진과 가공식품 소비활성화를 위해 6월 4일을 '육포데이‘로 지정 운영

2012년

전남 장흥군

추어탕 데이

7. 5

‘추어’와 발음이 비슷한 7월 5일을 이르는 말로 추어탕 먹기를 권장하는 날 (鰍魚湯day)

포도 데이

8. 8

포도가 본격 출하되기 시작하는 8월 여덟 번째 날이 포도모양과 닮은 ‘8’자가 두번 겹치기 때문에 매년 8월 8일을 포도데이로 정하였음. (동대전농협이 2005.8.18을 처음 사용)

2008년

농식품부

농협중앙회

쌀 데이

8. 18

○우리의 주식인 쌀은 볍씨 파종에서... 팔(八)자에 쌀의 한자음인 '미(米)의 가운데 부수인 '십(十)'을 따서 8월 18일을 쌀데이로 지정 쌀 소비를 촉진

전라남도

구구 데이

9. 9

○닭을 불러 모을때 "구구"라고 불렀던 점에 착 안, 매년 9월 9일을 '모두 불러 닭고기와 계란 요리를 먹는 날'로 지정(99-Day)

2003년

농협중앙회

사과(애플) 데이

10. 24

사과 향기가 그윽한 10월에 ‘둘(2)이 사(4)과하고 화해하는 날'로 정하고 '나로 인해 마음의 상처를 받은 사람에게 사과(謝過)한 뒤 그 징표로 사과(沙果)를 보내자'는 뜻

○친구나 애인끼리 사과(Apple)를 주고받으며 마음의 말을 나누는 날

2002년

학교폭력대책 국민협의회

농협중앙회

한우 데이

11. 1

숫자 '1'이 세 개나 들어가는 날, 또는 소 우(牛)자를 나누면 한 일자가 세 개가 나온다는 뜻으로. 대형수퍼마켓에서 한우 고기를 싸게 팜.

2008년

한우협회

가래떡 데이

11. 11

○가래떡의 ´가래´는 농기구 이름인 ´가래´에서 유래설, 또는 ´떡이나 엿처럼 둥글고 길게 늘려 만든 토막´이라는 뜻으로 ´가래´라는 말이 쓰인 가래떡설도 있음

○농업인의 날을 맞아 국민들의 관심과 쌀 소비 촉진을 위해 지정

2006년

농식품부

 

 

 

 

최하탁 주무관

 

사무실 : 전화 054-730-6261, FAX 054-730-6269

메일 : ch6103@korea.kr

주소 : 766-801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군청길 116. 영덕군청 농정과

 

 

 

                        NEWS경북' 자랑스런 경북인과 함께 합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