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5 (금)

  • 맑음속초 16.3℃
  • 맑음철원 13.2℃
  • 맑음동두천 15.1℃
  • 맑음대관령 9.0℃
  • 맑음춘천 15.1℃
  • 맑음백령도 10.8℃
  • 맑음북강릉 16.0℃
  • 맑음강릉 16.6℃
  • 맑음동해 17.4℃
  • 맑음서울 14.2℃
  • 맑음인천 13.9℃
  • 맑음원주 14.0℃
  • 맑음울릉도 13.8℃
  • 맑음수원 15.1℃
  • 맑음영월 13.7℃
  • 맑음충주 14.1℃
  • 맑음서산 14.8℃
  • 맑음울진 16.4℃
  • 맑음청주 15.5℃
  • 맑음대전 16.2℃
  • 맑음추풍령 12.6℃
  • 맑음안동 14.6℃
  • 맑음상주 15.9℃
  • 구름조금포항 16.1℃
  • 맑음군산 15.3℃
  • 구름조금대구 15.3℃
  • 맑음전주 15.1℃
  • 구름많음울산 15.5℃
  • 구름많음창원 16.6℃
  • 구름많음광주 16.4℃
  • 구름많음부산 16.3℃
  • 구름많음통영 15.6℃
  • 구름많음목포 13.6℃
  • 흐림여수 14.3℃
  • 구름많음흑산도 13.5℃
  • 흐림완도 14.5℃
  • 구름많음고창 14.5℃
  • 구름많음순천 13.6℃
  • 맑음홍성(예) 15.9℃
  • 흐림제주 14.9℃
  • 흐림고산 13.3℃
  • 흐림성산 15.1℃
  • 흐림서귀포 17.5℃
  • 구름많음진주 15.2℃
  • 맑음강화 14.2℃
  • 맑음양평 14.6℃
  • 맑음이천 16.2℃
  • 맑음인제 13.7℃
  • 맑음홍천 14.1℃
  • 맑음태백 11.6℃
  • 맑음정선군 13.2℃
  • 맑음제천 13.1℃
  • 맑음보은 14.3℃
  • 맑음천안 15.0℃
  • 맑음보령 16.5℃
  • 맑음부여 15.3℃
  • 맑음금산 14.6℃
  • 구름조금부안 15.4℃
  • 구름조금임실 15.0℃
  • 구름많음정읍 14.3℃
  • 구름많음남원 14.5℃
  • 구름조금장수 12.7℃
  • 구름많음고창군 14.7℃
  • 구름조금영광군 14.7℃
  • 구름많음김해시 16.4℃
  • 구름많음순창군 14.2℃
  • 구름많음북창원 16.4℃
  • 구름조금양산시 17.5℃
  • 구름많음보성군 15.8℃
  • 흐림강진군 14.6℃
  • 흐림장흥 15.6℃
  • 구름많음해남 14.7℃
  • 흐림고흥 15.0℃
  • 구름많음의령군 16.7℃
  • 구름조금함양군 15.5℃
  • 구름많음광양시 15.6℃
  • 구름많음진도군 14.8℃
  • 맑음봉화 13.6℃
  • 맑음영주 13.6℃
  • 맑음문경 14.6℃
  • 맑음청송군 14.4℃
  • 맑음영덕 15.3℃
  • 구름조금의성 16.1℃
  • 맑음구미 16.8℃
  • 맑음영천 15.5℃
  • 구름조금경주시 16.1℃
  • 맑음거창 15.8℃
  • 구름조금합천 16.1℃
  • 구름조금밀양 17.0℃
  • 구름조금산청 15.6℃
  • 구름많음거제 15.8℃
  • 구름많음남해 14.8℃
기상청 제공

청도박물관 '소리로 만나는 전시',,, 탁영 김일손특별전과 거문고의 만남

2019년 2월 10일(일)까지 청도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탁영 '김일손특별전' 기념. 거문고 연주회 열려



[청도군/뉴스경북=김승진 기자] 2018년 청도박물관 특별전 <선비의 길을 묻다 - 탁영 김일손>이 열리고 있다.


 김일손거문고(보물 제957), 일명 '탁영금'이 선생의 고향, 청도에서 처음 전시된 것을 기념하기 위해 거문고 연주회도 가졌다.


이번 연주회는 탁영금선양회에서 예술감독을 맡고 있는 김지성(경북대학교 국악학과 외래교수)의 연주와 쉬운 국악해설이 어울러져 특별전시를 찾은 관람객들에게 색다른 전시회의 경험을 안겨 주었다.


이 연주회에 참석한 한 관람객은 "탁영 거문고를 직접 보고 연주소리로도 들으니 거문고를 사랑한 김일손선생의 삶이 더 와 닿았다"고 소감을 밝혔다.


탁영선생의 생애를 조명하고 그가 남긴 유물을 살펴 볼 수 있는 이번 전시는 2019210()까지 청도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계속 된다.

 

 

탁영 김일손 1464(세조 10)1498(연산군 4)

조선 전기의 학자이며 문신이다.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계운(季雲), 호는 탁영(濯纓) 또는 소미산인(少微山人). 대대로 청도에서 살았다.

1486(성종 17)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시작해 주로 언관言官과 사관史官의 자리에서 언론역할과 역사의 기록자로서 당시 집권세력을 견제하였다. 1498(연산군 4) 무오사화戊午史禍 때 화를 입으셨고 중종반정으로 복관되었다. 저서로는 탁영집(濯纓集)이 있으며, 회로당기(會老堂記)·속두류록(續頭流錄26편이 속동문선(續東文選)에 수록되어 있다. 자계서원에 배향되어 있으며 시호는 문민(文愍)이다.

    

 

김일손 거문고 (탁영금) - 보물 제957

탁영선생이 거문고를 배운 이유는 소리 때문만이 아니라 마음을 단속하기 위함이라 하여 거문고를 통해 사람의 성정(性情)을 다스릴 수 있다고 믿었다. 탁영은 그 스스로가 거문고를 직접 만들어 사용하였는데 불에 타 없어질 뻔한 어느 노인 집의 오동나무 문짝을 가져다가 거문고를 만든 일화는 유명하다. 그 거문고의 별칭이 문비금(門扉琴)이다. 1490(성종 21)경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거문고 중앙 부분에 濯纓琴(탁영금)’이라는 문자가 음각되어 있고 학 그림이 거문고 하단부에 그려져 있다. 거문고의 용두(龍頭운족(雲足) 등은 원형대로 보존되어 있고, 봉미(鳳尾괘 등 부품 일부를 개수한 흔적이 보인다.

1988년 보물 제957호로 지정된 탁영금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거문고로 음악사적으로도 매우 귀중한 악기이지만, 역사에 흔적을 뚜렷이 남긴 젊은 선비의 기개가 담긴 정신적 문화유산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갖는다.

 

    사진.자료제공/문화시설담당

NEWSGB PRESS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