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119/뉴스경북=김승진 기자] 분만진통을 호소해 경북119구급차량으로 병원으로 이송되던 40대 산모가 119구급차 안에서 구급대원의 도움으로 아기를 무사히 출산했다.
경산소방서에 따르면, 24일 오전 7시경 경산시에 거주하는 김모(40세) 씨가 분만 진통을 호소하고 있다는 신고를 받고, 중앙119안전센터 특별구급대가 긴급하게 이송에 나섰다.
김씨를 구급차에 태우고 이송하는 중 분만이 급속히 진행되어 신생아의 머리가 보이는 등 자칫 산모와 아기 모두 위급해 질 수 있는 긴박한 상황이었지만, 신속하게 구급지도의사의 영상의료지도를 받아 구급대원이 탯줄 결찰과 절단까지 침착하게 실시하여 소중한 생명이 무사히 태어날 수 있었다.
이에 조유현 경산소방서장과 현장 출동한 구급대원은 산모와 신생아가 입원 중인 병원을 방문하여 축하의 인사와 준비한 선물을 전달 하며 넷째탄생의 기쁨을 함께 나누었다.
경북소방본부 관계자는 “지난 9월 1일부터 경상북도에 특별구급대 19개대를 시범 운영 중에 있으며 구급대에 특별교육과정을 이수한 1급 응급구조사 자격 또는 간호사 면허를 가진 구급대원이 탑승하고, 심정지, 심인성흉통, 다발성 중증 손상환자, 아나필락시스, 응급분만 등 중증응급환자가 발생한 구급현장에 출동한다.”고 밝혔다.
남화영 경북소방본부장은 “119구급차에서 산모와 아기 모두 건강한 상태로 분만을 유도한 구급대원에게 아낌없는 격려와 박수를 보낸다.”며 “앞으로도 보다 나은 구급서비스 제공을 위해 구급대원의 전문교육을 강화하는 등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나겠다.”고 밝혔다.
□ 경상북도 119구급출동 현황
연도 | 임산부 구급출동 건수 | 비고 |
2019년 9월 25일 | 117 | |
2018년 | 154 | |
2017년 | 162 | |
□ 경상북도 임산부 등록현황
연도 | 임산부 등록현황 | 비고 |
2019년 9월 1일 | 9,454 | |
2018년 | 16,412 | |
2017년 | 18,262 | |
시범사업 업무범위(안)
□ 1급 응급구조사 자격 또는 간호사 면허를 가진 구급대원의 업무범위(의사의 직접 의료지도에 의한 처치)
1. 12유도 심전도*의 측정
* 12유도 심전도는 가슴전면과 사지에 전극을 부착, 전기적 신호를 측정하여 심전도 변화를 통해 심장질환을 진단하는 장비로 구급현장에서 부정맥과 급성심근경색 환자를 초기에 발견하는 기기
2. 응급 분만 시 탯줄 결찰 및 절단
3. 다발성/중증손상 환자에 대한 진통제 투여
- (시행조건) 통증점수 10점 만점에 8점 이상, 아세트아미노펜(비닐백) 사용
4. 아나필락시스 시 에피네프린 투여(영상통화 의료지도 하)
- (시행조건) 젝스트(에피네프린 자동주사기) 사용
5. 심폐소생술 시 에피네프린(강심제) 투여(영상통화 의료지도 하)
- (시행조건) 다중출동 상황, 앰플(Ample) 사용
□ 2급 응급구조사의 업무범위
1. 산소포화도, 호기말(날숨) 이산화탄소 측정
2. 간이측정기를 이용한 혈당 측정
□ 응급구조사의 업무범위(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33조 관련 별표14)
○ 1급 응급구조사의 업무범위
1. 심폐소생술의 시행을 위한 기도유지(기도기(airway)의 삽입, 기도삽관(intubation), 후두마스크 삽관 등을 포함한다)
2. 정맥로의 확보
3. 인공호흡기를 이용한 호흡의 유지
4. 약물투여 : 저혈당성 혼수시 포도당의 주입, 흉통시 니트로글리세린의 혀아래(설하) 투여, 쇼크시 일정량의 수액투여, 천식발작시 기관지확장제 흡입
5. 제2호의 규정에 의한 2급 응급구조사의 업무
○ 2급 응급구조사의 업무범위
1. 구강내 이물질의 제거
2. 기도기(airway)를 이용한 기도유지
3. 기본 심폐소생술
4. 산소투여
5. 부목·척추고정기·공기 등을 이용한 사지 및 척추 등의 고정
6. 외부출혈의 지혈 및 창상의 응급처치
7. 심박·체온 및 혈압 등의 측정
8. 쇼크방지용 하의 등을 이용한 혈압의 유지
9. 자동심장충격기를 이용한 규칙적 심박동의 유도
10. 흉통시 니트로글리세린의 혀아래(설하) 투여 및 천식발작시 기관지확장제 흡입(환자가 해당약물을 휴대하고 있는 경우에 한함)
□ 간호사의 업무범위(의료법 제2조제5항)
-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의 지도*하에 시행하는 진료의 보조
* 전화 등 통신으로 지도 가능
NEWSGB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