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주시/뉴스경북=김승진 기자]
영주댐 방류 반대 결의문
영주시의 각급 사회단체를 대표하여 모인 영주댐 수호 추진위원회는 영주댐 방류를 결사반대한다.
영주댐은 2016년 10월 준공식을 하고도 3년이 지나도록 담수를 하지 못하다가 영주시민들의 요구로 2019년에야 겨우 담수를 시작하였다.
지난여름 강우로 인해 이제 댐 본래의 모습을 찾아가는 이 시점에 다시 댐을 방류하여 완전히 바닥까지 드러날 정도로 되돌리려고 하는데 분함을 금치 못한다.
영주댐은 낙동강 유역 수질개선을 위한 하천유지용수 확보와 이상기후에 대비한 홍수피해 경감 및 경북 북부지역의 안정적인 용수 공급을 위해 지난 2009년 착공하여 총사업비 1조 1,030억원이 투입된 사업으로 지난 2019년 시민들의 한결같은 담수 요청으로 인해 겨우 담수가 이루어지고, 발전 테스트까지 하였다.
특히, 그동안의 담수로 인해 이미 마무리된 댐주변 일주순환도로, 수변공간을 활용한 용마루공원, 오토캠핑장, 용혈폭포 등이 영주댐 주변 자연경관과 어우러져 코로나로 지친 관광객과 시민들에게 새로운 힐링 코스로 각광받고 있으며, 지금도 전통문화체험단지, 복합어드벤처타워, 스포츠컴플렉스 등의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그동안 댐 건설로 인해 주변의 농경지가 매몰되고 이웃과 함께하던 삶의 터전을 잃어버려야만 했던 지역주민들의 애환이 담겨져 있는 영주댐이 정상화 되어 지역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부석사, 소수서원과 무섬마을을 연결하는 영주의 새로운 관광명소로 거듭나 지역경제에 큰 도움이 되기를 시민들은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건설된 영주댐을 시민들의 뜻을 전혀 반영하지 않은 채 방류로 진행되고 있는데 대하여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시민대표로 구성된 본 영주댐수호추진위원회는 막대한 예산이 투입된 영주댐이 정상화 될 수 있도록 담수를 지속적으로 유지해 줄 것을 강력히 요청하면서 시민들의 뜻을 모아 다음과 같이 결의 한다.
첫째,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는 영주댐 방류를 즉각
중지하라.
둘째,
영주댐과 관련한 제반 대책을 조속히 수립하고 그 결과를 공개하라.
셋째,
막대한 예산을 들여 세운 댐과 주변지역 사업이
정상화 될 수 있도록 영주시민의 여론을 수렴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2020년 9월 일
영주댐수호추진위원회원 일동
임원 | 성 명 | 직 위 | 비 고 |
위원장 | 강 성 국 | 영주댐 담수회장 | |
수석부위원장 | 조 관 섭 | 영주상공회의소장 | |
부위원장 | 임 수 경 | 영주시이통장연합회장 | |
부위원장 | 윤 홍 욱 | 자연보호영주시협의회장 | |
| 황 기 주 | 대한노인회 영주시지회장 | |
| 권 영 순 | 영주시새마을회장 | |
| 김 세 연 | 영주시여성단체협의회장 | |
| 이 희 기 | 특수임무수행유공자협의 경북본부장 | |
| 손 영 달 | 대한상이군경회 영주시지회장 | |
| 권 영 수 | 대한전몰군경유족회 영주시지회장 | |
| 석 경 호 | 민족통일영주시협의회장 | 불참 |
| 이 재 욱 | 한국지체장애인협회 영주시지회장 | |
| 민 병 철 | 영주시재향군인회장 | |
| 전 인 만 | (사)한국농업경영인 영주시연합회장 | |
| 김 제 선 | 영주시종합자원봉사센터장 | 불참 |
뉴스경북
사진.자료제공/영주댐수호추진위원회
NEWSGB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