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5 (금)

  • 맑음속초 13.8℃
  • 맑음철원 11.0℃
  • 맑음동두천 10.4℃
  • 맑음대관령 7.3℃
  • 맑음춘천 11.2℃
  • 구름많음백령도 9.2℃
  • 맑음북강릉 14.4℃
  • 맑음강릉 15.3℃
  • 흐림동해 15.3℃
  • 맑음서울 11.4℃
  • 맑음인천 10.8℃
  • 맑음원주 11.1℃
  • 흐림울릉도 15.6℃
  • 맑음수원 10.7℃
  • 맑음영월 11.0℃
  • 구름조금충주 10.6℃
  • 구름조금서산 9.3℃
  • 흐림울진 16.9℃
  • 맑음청주 11.3℃
  • 구름많음대전 10.7℃
  • 흐림추풍령 11.1℃
  • 구름많음안동 13.3℃
  • 구름많음상주 12.6℃
  • 흐림포항 18.3℃
  • 구름조금군산 9.5℃
  • 흐림대구 16.1℃
  • 구름조금전주 10.0℃
  • 흐림울산 18.7℃
  • 흐림창원 17.1℃
  • 흐림광주 12.0℃
  • 흐림부산 19.1℃
  • 흐림통영 16.0℃
  • 흐림목포 11.4℃
  • 흐림여수 15.8℃
  • 흐림흑산도 9.9℃
  • 흐림완도 12.7℃
  • 구름많음고창 8.8℃
  • 흐림순천 11.0℃
  • 맑음홍성(예) 11.6℃
  • 흐림제주 14.7℃
  • 흐림고산 13.9℃
  • 흐림성산 14.9℃
  • 흐림서귀포 16.3℃
  • 흐림진주 16.1℃
  • 맑음강화 10.5℃
  • 맑음양평 12.8℃
  • 맑음이천 10.1℃
  • 맑음인제 11.7℃
  • 맑음홍천 12.2℃
  • 맑음태백 8.9℃
  • 맑음정선군 11.5℃
  • 맑음제천 9.7℃
  • 구름많음보은 10.2℃
  • 구름많음천안 8.8℃
  • 맑음보령 8.2℃
  • 구름조금부여 8.7℃
  • 구름많음금산 10.8℃
  • 구름조금부안 9.7℃
  • 구름많음임실 9.0℃
  • 구름많음정읍 9.1℃
  • 흐림남원 10.5℃
  • 구름많음장수 8.7℃
  • 구름많음고창군 10.3℃
  • 흐림영광군 9.6℃
  • 흐림김해시 19.0℃
  • 흐림순창군 10.8℃
  • 흐림북창원 18.9℃
  • 흐림양산시 19.8℃
  • 흐림보성군 13.0℃
  • 흐림강진군 12.4℃
  • 흐림장흥 12.3℃
  • 흐림해남 12.0℃
  • 흐림고흥 13.5℃
  • 흐림의령군 17.3℃
  • 흐림함양군 12.7℃
  • 흐림광양시 14.1℃
  • 흐림진도군 11.8℃
  • 맑음봉화 11.9℃
  • 맑음영주 11.9℃
  • 구름많음문경 11.8℃
  • 흐림청송군 14.4℃
  • 흐림영덕 16.5℃
  • 구름많음의성 15.0℃
  • 구름많음구미 14.2℃
  • 흐림영천 15.7℃
  • 흐림경주시 17.7℃
  • 흐림거창 12.7℃
  • 흐림합천 16.5℃
  • 흐림밀양 18.7℃
  • 흐림산청 13.8℃
  • 흐림거제 16.6℃
  • 흐림남해 17.3℃
기상청 제공

[뉴스경북=사설] 아이들 점심시간, 배만 채우는 시간 일까?

 

무상(無償)은  어떤 행위대하여 아무런가나 보상이 없음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야말로 선의적인 것이다.

 

무상급식에 대해 분명히 다른 주장이 있다.

 

 

"무상급식 아니다.의무급식이다" (이재명)

 

 

"국민들이 세금을 낸 것이고 그걸 급식과 보육으로 돌려드리는 것이기

 

문에 무상이란 표현은 적절치 않다" (박원순)

 

 

 "저는 공공보육과 공공급식으로 바꿔 부르고 있다" (조희연)

 

 

성과가 미흡하기에 우선순위에서 배제해 논의해야 할 일이 아니라는 것이다.

 

문제의 발단은 돈이 많이 든다는 것이다.

 

아마도 같은 뜻이고, 한다 해도 자신들이 먼저 해야 할 일이라고 했다.

 

아이들 밥먹이는 문제다.

 

크는 아이들 균형잡힌 식단으로 한끼 밥을 주겠다는데 갑자기 '무상(공짜)' 이야기로 몇날을 옥신각신 하다가 또 언제부터인가 편까지 갈려져 있다.

 

"그만한 세금을 그런곳에 쓸려 하다니?"로 들린다.

 

2014년 11월,

 

'국민세금을 가지고, 그만한 돈을?' 이라고 하기엔 낯뜨겁고 부끄러운 이야기가 되었다.

 

상상도 못하는 돈이 상상도 할 수 없는 곳으로 낭비 되었다며 매일 밝혀지고  있기 때문이다.

 

점심을 해결 못하는 아이들이 있다.

 

점심을 해결하지 못한다면 또래, 그들 사회와 어울릴 수 없는 시간을 갖는다는 것이다.

 

어른들도 친하자고 할 때 '언제 밥이라도 한끼 하지?' 그러듯이 아이들도 점심시간에 배만 채우는 시간이라고 우길텐가!

 

점심시간이 없다는 것은 혼자되게 하는 것이다.

 

집에서도 사회에서도 누구하나 관심도 베풀지 않고 대화할 수 없는 높은 담을 쌓아 격리 시키려 한다고 생각할 것이다.

 

가족관계나 형편이 어려운 아이들에게 밥을 주고는 싶은데 나라살림살이가 그렇게 넉넉치 못하다는 말이 왜 그리도 언짢게 들리는지.

 

'아이들 밥을 주자, 그대신 당신들 월급에서 한 2만원 떼겠다!' 그렇게 하면 아마도 반대 할 사람들이 많을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정말 부끄러운 일이다.

 

되고, 안되고는 여러 논의를 거쳐 결정 되어 지겠지만 그런 결정 과정이 어른들로서 할 일이 아니라는 것에 동의 한다.

 

지난 여름 신문사에 필요한 접시, 그릇, 냄비 등을 구하러 고물상엘 가자고 했더니 다들 놀라워 했다.

 

'그것 사는데 얼마나 든다고?'라고 했다.

 

우겨서 찾은 고물상엔 마치 기다리기라도 한 듯 쓸만한 스텐레스 주방 용품들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었다.

 

속으로 '안녕!'이라며 인사를 건넸다.

 

다들 눈빛이 살아 반짝 거리고 있었다.

 

더한 것 까지 챙겼음에도 2만원 정도 였다.

 

"대한민국 언제부터 잘 살게 되었는지 참 걱정입니다. 전부 쓸만하쟎아요!"라며 직원들이 응원을 해 주셨다.

 

잘살고 있는 대한민국 국민들 품격대로 통크게 아이들 급식문제 잘 해결되길 기대해 봅니다.

 

우리가 격렬하게 원했던 일들도 언젠가는 무상(無常)하게 느껴진다는 것 잘 아시쟎아요!.

 

동고리

 

 

도시락이란 20세기 초 들어서 쓰기 시작한 순 우리말이다.

'밥을 담는 작은 그릇 또는 여기에 반찬을 곁들여 담은 밥'으로, 주로 점심밥을 말한다.

옛 사람들은 버드나무 줄기나 길게 쪼갠 대나무 등을 엮어 만든 '고리'라는 그릇을 도시락으로 썼다. 버드나무로 만들면 '버들고리', 대나무로 만들면 '대나무고리'라고 했는데, 밥을 담으면 '밥고리'라 불렀다. 
 

 

 

                  뉴스경북' 자랑스런 경북인과 함께 합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