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21 (금)

  • 맑음속초 -3.7℃
  • 맑음철원 -10.0℃
  • 맑음동두천 -7.6℃
  • 맑음대관령 -13.1℃
  • 맑음춘천 -8.0℃
  • 구름조금백령도 -2.2℃
  • 맑음북강릉 -4.1℃
  • 맑음강릉 -2.5℃
  • 맑음동해 -2.8℃
  • 맑음서울 -5.8℃
  • 맑음인천 -5.2℃
  • 맑음원주 -4.9℃
  • 구름많음울릉도 -0.8℃
  • 맑음수원 -6.2℃
  • 맑음영월 -7.4℃
  • 구름조금충주 -7.6℃
  • 구름조금서산 -5.7℃
  • 맑음울진 -3.5℃
  • 구름많음청주 -3.8℃
  • 구름조금대전 -4.6℃
  • 구름많음추풍령 -4.9℃
  • 맑음안동 -6.0℃
  • 구름조금상주 -4.1℃
  • 구름많음포항 -2.1℃
  • 구름많음군산 -3.3℃
  • 구름조금대구 -2.5℃
  • 흐림전주 -3.4℃
  • 흐림울산 -2.8℃
  • 흐림창원 -1.3℃
  • 흐림광주 -1.5℃
  • 구름많음부산 -0.4℃
  • 구름많음통영 -1.8℃
  • 흐림목포 0.1℃
  • 흐림여수 -1.6℃
  • 흐림흑산도 1.2℃
  • 흐림완도 0.0℃
  • 흐림고창 -2.1℃
  • 흐림순천 -3.8℃
  • 구름많음홍성(예) -3.8℃
  • 흐림제주 2.5℃
  • 흐림고산 2.8℃
  • 구름많음성산 1.7℃
  • 흐림서귀포 4.0℃
  • 흐림진주 -1.5℃
  • 맑음강화 -5.6℃
  • 맑음양평 -5.6℃
  • 맑음이천 -5.4℃
  • 맑음인제 -9.6℃
  • 맑음홍천 -7.0℃
  • 맑음태백 -10.6℃
  • 맑음정선군 -10.3℃
  • 맑음제천 -10.2℃
  • 흐림보은 -4.6℃
  • 구름많음천안 -4.9℃
  • 구름많음보령 -3.8℃
  • 구름많음부여 -3.4℃
  • 구름조금금산 -4.6℃
  • 구름많음부안 -2.2℃
  • 흐림임실 -4.6℃
  • 흐림정읍 -3.7℃
  • 흐림남원 -5.7℃
  • 흐림장수 -7.6℃
  • 흐림고창군 -2.5℃
  • 흐림영광군 -0.9℃
  • 흐림김해시 -1.8℃
  • 흐림순창군 -3.0℃
  • 흐림북창원 -0.4℃
  • 흐림양산시 -0.4℃
  • 흐림보성군 -1.6℃
  • 흐림강진군 -0.5℃
  • 흐림장흥 -2.2℃
  • 흐림해남 0.1℃
  • 흐림고흥 -2.6℃
  • 흐림의령군 ℃
  • 흐림함양군 -3.8℃
  • 흐림광양시 -2.1℃
  • 흐림진도군 0.6℃
  • 구름조금봉화 -10.6℃
  • 구름조금영주 -6.7℃
  • 흐림문경 -5.8℃
  • 맑음청송군 -9.4℃
  • 구름조금영덕 -2.6℃
  • 맑음의성 -8.4℃
  • 구름조금구미 -6.2℃
  • 구름많음영천 -3.6℃
  • 구름많음경주시 -2.6℃
  • 흐림거창 -6.5℃
  • 구름많음합천 -3.7℃
  • 흐림밀양 -1.5℃
  • 구름많음산청 -3.7℃
  • 구름조금거제 -0.3℃
  • 흐림남해 -2.1℃
기상청 제공

문화공연/전시

문예출판사, 다자이 오사무 생전 최고의 인기작 ‘사양’ 에디터스 컬렉션으로 출간

 

(뉴스경북) 다자이 오사무 생전 최고의 인기작 '사양'이 문예출판사 에디터스 컬렉션으로 출간됐다.

사양은 8월 앞서 출간된 '인간 실격'과 마찬가지로 감각적인 일러스트레이터 박혜미의 그림을 표지 이미지로 사용했으며, 전문 번역가 오유리의 세심한 번역을 거쳤다.

사양은 2차 세계대전 직후 무너져가는 귀족 집안과 시대 의식을 그린 작품이다. 출간 직후 사양족이란 신조어를 만들 만큼 폭발적인 인기를 끌었으며, 사후 출간된 '인간 실격'과 더불어 지금까지도 꾸준한 사랑을 받는 다자이 오사무의 대표작이다.

사양의 주인공 가즈코와 남동생 나오지는 과거에 귀족으로서 누렸던 모든 지위와 특권을 잃고, 몰락한 현실에 맞닥뜨려 끊임없이 인간의 삶과 가치에 대해 생각한다. 다자이는 이 두 사람을 통해 상실의 슬픔과 삶의 허망함을 담담하면서도 섬세한 문체로 그려낸다.

하지만 사양은 단순히 스러져가는 것, 몰락해가는 것을 주제로 한 작품이 아니다. 마치 모래 속에 묻힌 사금을 추어내듯, 진흙탕 같은 암울한 현실 속에서도 자기 의지의 혁명을 꿈꾸고 이뤄나가는 아름다운 인간의 이야기다.

순수를 희구하던 남동생 나오지는 참혹한 전쟁을 겪고 아편 중독자, 거의 폐인이 돼 돌아온다. 허례허식에 젖은 예술가와 귀족들에게서는 자신이 추구하는 삶의 의미를 발견하지 못하면서도 그들과 어울려 방탕하게 생활한다. 죽는 순간까지 발버둥 쳤지만 결국 귀족 신분의 굴레에서 자유롭지 못했던 그는 자신의 결심을 밀고 나가지 못한 채 시대의 낙오자가 되고 만다.

반면 가즈코는 낡은 도덕과 사상을 무시하고 나름의 방법으로 힘든 현실을 타파하고자 한다. 자신이 사랑하는 남자의 아이를 낳아 혼자서라도 키우겠다는 뜻을 자기 나름의 방법으로 이뤄 스스로 생의 씨앗을 심었다.

사양은 일본의 패전과 몰락 계급의 비극적인 삶을 여성의 목소리로 그린 페미니즘 작품으로 소개됐다. 그러나 정치, 사회, 문화 전반에서 급격한 변화를 겪어온 현대 독자들의 감수성에 비춰본다면 이 작품을 페미니즘 작품으로 높이 칭송한 평가가 다소 퇴색돼 보일지 모른다.

다만 '뭐든 그 사람들이 말하던 것과는 반대로 하는 것이 진정 살길이라 여기게 됐다'는 소설 속 문장은 적폐 청산을 외치고 더 나은 세계로 나아가겠다고 다짐한 이들이 정작 기성세대가 됐을 때 과거의 잘못을 반복하고, 책임 회피에 급급한 기득권이 된 것에 또다시 실망하고 마는 우리의 모습을 그대로 비추는 듯하다. 2차 세계대전 후 격변의 시기를 겪으며, 불안과 암울이 만연한 일본 사회를 밝게 비추고 방황하는 청년들의 마음을 어루만진 다자이 오사무의 사양을 다시 한번 눈여겨봐야 할 이유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