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8.13 (화)

  • 맑음속초 27.7℃
  • 맑음철원 30.2℃
  • 맑음동두천 30.6℃
  • 맑음대관령 26.6℃
  • 맑음춘천 29.6℃
  • 박무백령도 27.3℃
  • 맑음북강릉 27.9℃
  • 맑음강릉 29.8℃
  • 맑음동해 29.9℃
  • 구름조금서울 32.0℃
  • 구름조금인천 30.3℃
  • 구름조금원주 30.5℃
  • 구름조금울릉도 27.8℃
  • 구름많음수원 30.3℃
  • 구름조금영월 30.5℃
  • 맑음충주 29.9℃
  • 구름조금서산 31.8℃
  • 구름조금울진 29.0℃
  • 맑음청주 30.5℃
  • 맑음대전 30.9℃
  • 구름조금추풍령 28.2℃
  • 맑음안동 29.2℃
  • 구름조금상주 29.1℃
  • 구름조금포항 29.5℃
  • 맑음군산 30.8℃
  • 맑음대구 29.6℃
  • 구름많음전주 31.0℃
  • 구름많음울산 28.7℃
  • 맑음창원 30.5℃
  • 구름많음광주 28.8℃
  • 구름조금부산 30.8℃
  • 맑음통영 30.0℃
  • 구름조금목포 29.4℃
  • 구름조금여수 28.2℃
  • 맑음흑산도 30.9℃
  • 구름조금완도 31.6℃
  • 구름조금고창 30.8℃
  • 구름많음순천 27.2℃
  • 구름조금홍성(예) 30.1℃
  • 구름조금제주 30.9℃
  • 구름조금고산 31.7℃
  • 맑음성산 30.9℃
  • 구름조금서귀포 30.5℃
  • 맑음진주 29.8℃
  • 맑음강화 30.6℃
  • 맑음양평 29.2℃
  • 구름조금이천 29.8℃
  • 맑음인제 28.8℃
  • 구름조금홍천 28.9℃
  • 맑음태백 29.0℃
  • 맑음정선군 29.0℃
  • 구름조금제천 27.5℃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천안 29.2℃
  • 맑음보령 32.6℃
  • 맑음부여 30.2℃
  • 맑음금산 29.0℃
  • 구름조금부안 31.3℃
  • 구름조금임실 29.4℃
  • 구름많음정읍 31.0℃
  • 구름조금남원 30.3℃
  • 맑음장수 27.6℃
  • 구름많음고창군 30.4℃
  • 구름많음영광군 29.6℃
  • 구름조금김해시 30.8℃
  • 구름조금순창군 30.1℃
  • 맑음북창원 30.5℃
  • 구름조금양산시 31.4℃
  • 구름많음보성군 30.3℃
  • 구름많음강진군 29.7℃
  • 구름많음장흥 29.3℃
  • 구름많음해남 31.0℃
  • 구름조금고흥 30.7℃
  • 맑음의령군 31.4℃
  • 구름조금함양군 29.3℃
  • 구름조금광양시 30.7℃
  • 구름많음진도군 31.0℃
  • 맑음봉화 27.3℃
  • 구름조금영주 28.3℃
  • 구름조금문경 28.9℃
  • 맑음청송군 29.2℃
  • 구름조금영덕 30.0℃
  • 맑음의성 29.7℃
  • 구름조금구미 30.1℃
  • 구름조금영천 29.0℃
  • 구름많음경주시 31.2℃
  • 맑음거창 28.7℃
  • 맑음합천 29.8℃
  • 맑음밀양 30.5℃
  • 맑음산청 29.7℃
  • 맑음거제 29.8℃
  • 구름조금남해 28.3℃
기상청 제공

문화공연/전시

대규모 스트리트 아트 전시 ‘스튜디오로서의 도시’ 홍콩 K11뮤제아서 중화권 최초 선보여

 

(뉴스경북) 제프리 데이치의 기획으로 중화권에서 처음 열리는 대규모 그래피티 및 스트리트 아트 전시회 '스튜디오로서의 도시(City As Studio)'가 올봄 홍콩 K11뮤제아에서 개최된다. 3월 20일부터 5월 14일까지 개최되는 이 전시는 아트바젤 홍콩과 같은 시기에 진행된다. 다양한 세대와 스타일 그리고 지역을 아우르며 그래피티와 스트리트 아트를 중점으로 다루는 이 기념비적 전시회에는 아티스트 30명의 작품 100여점이 선보여진다.

스튜디오로서의 도시는 1970년대 뉴욕 지하철과 주차장부터 세계적 현상으로 부상한 시점까지 그래피티와 스트리트 아트의 역사를 추적한다. 패브 파이브 프래디(Fab 5 Freddy), 퓨투라(FUTURA), 장미셸 바스키아 같은 1970년대 후반~1980년대 초반 다운타운 예술계의 혁신적인 운동가들로 시작해 배리 맥지(Barry McGee), 미스터 카툰, 오스제미오스(OSGEMEOS)처럼 샌프란시스코, 이스트 로스앤젤레스, 상파울루를 대표하는 아티스트를 포괄한다. 전시회는 또 뉴욕 스트리트 아트의 젊은 세대를 대표하는 카우스(KAWS)와 아이코(AIKO) 같은 예술가들의 등장과 변화를 담는다.

K11 창립자 에이드리언 쳉은 '이번 전시는 로스앤젤레스, 샌프란시스코, 상파울루, 파리, 도쿄에서 활동하는 스트리트 아트의 혁신적인 예술가들의 주요 작품을 선보인다. 이런 작품은 오늘날 사회 상황을 반영하고, 관람객에게 몰입하는 경험을 제공한다. 제프리는 스트리트 아트를 제도적으로 받아들이는 데 앞장섰다. 우리는 그와 함께 이 획기적인 전시회를 중국에 가져올 수 있어 기쁘다. 한 세대를 정의하는 작품 속에 구현된 문화적 혁신, 전 세계를 아우르는 스트리트 아트의 영향력과 더 다양한 관객을 강력하게 참여시키는 능력은 우리의 더 넓은 사명을 반영한다'고 말했다.

전시회 주요 작품으로는 페이지 파월의 개인 컬렉션에서 대여한 바스키아의 '발렌타인'(1984), 크래시의 '더 밤'(The Bomb)(1983), 3m 대작인 스프레이 페인트로 그려진 키스 해링의 '무제'(1983) 등이 있다. 셰퍼드 페어리가 그린 키스 해링과 바스키아의 초상화도 전시되는데, 이 작품은 초기 스트리트 아티스트가 현재 세대에 어떻게 영향을 줬는지 보여준다.

카우스의 개인 소장품인 퓨투라의 '엘 디아블로(El Diablo)'(1985)는 오늘날 활동하는 다양한 세대의 스트리트 아티스트들이 서로 영향을 받고 대화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제이알(JR)의 '아이컨택트 #13(Eye Contact #13)'(2018)은 작은 선로 위 모형 열차가 앞뒤로 움직여 착시 현상을 일으키면서 전형적인 기차역을 떠올리게 한다.

이번 전시는 스트리트 아트라는 미술 운동이 어떻게 다른 장르를 형성했는지 다룬다. 찰리 아헌(Charlie Ahearn)의 영화 '후아니토(Juanito)'는 감독의 쌍둥이인 조각가 존 아헌(John Ahearn)이 뉴욕 브롱크스 사람들의 모습을 석고 캐스트를 통해 불멸의 존재로 만드는 과정을 담았다. 아이코와 레이디 핑크(Lady Pink)의 작품은 여성 아티스트들이 전통적으로 남성이 지배하는 장르에서 어떻게 반응하고 기여했는지 탐구한다.

스튜디오로서의 도시에서는 1970~1980년대 스트리트 아티스트들이 도시와 예술에 끼친 영향을 다큐멘터리 형식으로 담은 쿠스마노 세라티(Gusmano Cesratti), 헨리 칼판트(Henry Cahlfant), 마사 쿠퍼(Martha Cooper) 같은 선구적 인물들의 매력적인 사진 시리즈도 전시된다.

전시를 기획한 제프리 데이치는 예술가, 작가, 큐레이터, 딜러, 어드바이저로 지난 반세기 동안 현대 미술계에서 활동했다. 데이치는 로스앤젤레스 현대미술관(MOCA)의 디렉터로 재직하면서 50여개의 전시,프로젝트를 선보였고, 그래피티와 스트리트 아트에 대한 광범위한 내용을 출판해왔다. 1980년대부터 그래피티에 주목해왔던 데이치는 전문적인 큐레이터십과 수년간 리서치를 통한 풍부한 지식을 스튜디오로서의 도시에 담았다. 이번 전시는 지난 반세기 동안 발전 과정을 되돌아보며 여러 세대를 가로지르는 그래피티와 스트리트 아트의 미래와 과거를 발견하고자 한다.

K11 아트파운데이션은 전시와 함께 다양한 이벤트, 활동도 제공한다. 토크, 스크리닝, 오디오 가이드, 도슨트 투어와 교육으로는 온라인 러닝 리소스, 인터랙티브 그래피티 태깅 활동 등을 제공해 모든 연령대 관람객들의 전시 관람에 풍성함을 더한다. 또 온,오프라인 활동을 활용, 스트리트 아트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도모한다. 예술에 대한 재미있는 정보를 담은 TÖÖF 카드의 한정판은 전시에 대한 관람객들의 영감을 더 풍부하게 해줄 예정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