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13석(-2)
군위,의성,청송과 사실상 통합되는 상주
청도+영천
[뉴스경북 = 김승진 기자] 4·13 총선을 50일 앞두고 경북 2곳을 포함한 전국 9개 지역에서 통합되는 선거구획정안이 23일 확정됐다.
새누리당 김무성·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정의화 국회의장 주선으로 만나 국회의원 정수는 300석을 유지하되 지역구 숫자는 현행 246석보다 7석 늘어난 253석, 비례대표는 현행 54석에서 47석으로 줄이는 내용의 획정안에 합의했다.
23일, 여야가 합의한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 기준에 따라 경북의 선거구가 2개 줄면서 통폐합 선거구민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다.
해당 지역 주민들은 여야가 생활·문화권을 무시한 선거구 통폐합으로 주민불편을 야기하고 지역 간 갈등을 부추기는 야합을 했다고 강한 불만을 토로했다.
군위·의성·청송과 사실상 통합되는 상주는 생활권이 같은 문경과 통합선거구를 이뤄내지 못했다.
이는 군위·의성·청송을 합한 유권자가 상주보다 많아 상주 출신 국회의원 배출 가능성이 낮아졌다는 분석도 있다.
청도와 영천 역시도 경산과 인접해 있지만 지역구 숫자로 통합된데에 지역발전에 공동관심사들이 외면 당하지 않을까 우려를 지적하고 있다.
여야는 중앙선관위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가 이 기준에 따라 획정안을 성안해 보내오면 26일 본회의에서 처리하기로 했다.
획정의 원칙은 지난해 10월 말을 인구 산정 기준일로 해 상한선은 28만 명, 하한선은 14만 명으로 하되, 일부 불가피한 지역구는 예외로 하되 자치 구·시·군 일부 분할은 원칙적으로 금지했다.
각 선거구마다 2개 이상의 경계조정안(지자체안, 시민단체안)이 중앙선관위 획정위에 제출된 상태여서 25일쯤 드러날 선관위 획정위의 분구지역경계 내용에 초미 관심을 끌고 있다.
제20대 총선 지역구 의석수는 서울 49석(+1), 부산 18석, 대구 12석, 인천 13석(+1), 광주 8석, 대전 7석(+1), 울산 6석, 경기 60석(+8), 강원 8석(-1), 충북 8석, 충남 11석(+1), 전북 10석(-1), 전남 10석(-1), 경북 13석(-2), 경남 16석, 제주 3석, 세종 1석이다.
지역구·비례대표 의석수 비율은 253대(기존246)47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