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03 (금)

  • 맑음속초 -1.3℃
  • 맑음철원 -11.2℃
  • 맑음동두천 -7.7℃
  • 맑음대관령 -9.2℃
  • 맑음춘천 -8.5℃
  • 구름많음백령도 -0.3℃
  • 맑음북강릉 -3.5℃
  • 맑음강릉 -1.0℃
  • 맑음동해 -0.5℃
  • 맑음서울 -4.8℃
  • 맑음인천 -3.5℃
  • 맑음원주 -4.5℃
  • 구름많음울릉도 2.5℃
  • 맑음수원 -5.2℃
  • 맑음영월 -5.0℃
  • 맑음충주 -4.8℃
  • 맑음서산 -3.6℃
  • 맑음울진 -1.5℃
  • 맑음청주 -2.9℃
  • 맑음대전 -2.9℃
  • 맑음추풍령 -3.1℃
  • 구름조금안동 -3.6℃
  • 맑음상주 -1.8℃
  • 구름많음포항 0.9℃
  • 구름많음군산 -0.6℃
  • 구름조금대구 0.3℃
  • 구름많음전주 -0.6℃
  • 구름조금울산 0.9℃
  • 맑음창원 1.4℃
  • 맑음광주 0.4℃
  • 구름조금부산 1.9℃
  • 구름조금통영 2.2℃
  • 구름많음목포 3.8℃
  • 구름조금여수 1.6℃
  • 구름조금흑산도 4.6℃
  • 구름많음완도 2.2℃
  • 흐림고창 -2.3℃
  • 구름많음순천 -0.4℃
  • 구름조금홍성(예) -4.2℃
  • 구름조금제주 5.9℃
  • 구름많음고산 6.4℃
  • 구름조금성산 4.1℃
  • 구름조금서귀포 4.7℃
  • 구름많음진주 -2.1℃
  • 맑음강화 -6.1℃
  • 맑음양평 -3.8℃
  • 맑음이천 -5.4℃
  • 맑음인제 -9.6℃
  • 맑음홍천 -8.8℃
  • 맑음태백 -7.7℃
  • 맑음정선군 -4.6℃
  • 맑음제천 -5.1℃
  • 맑음보은 -4.0℃
  • 맑음천안 -3.8℃
  • 구름많음보령 -1.1℃
  • 맑음부여 -2.2℃
  • 맑음금산 -5.8℃
  • 흐림부안 0.6℃
  • 흐림임실 -1.2℃
  • 흐림정읍 -0.7℃
  • 맑음남원 -3.8℃
  • 흐림장수 -4.5℃
  • 구름많음고창군 0.5℃
  • 구름많음영광군 3.0℃
  • 구름조금김해시 0.5℃
  • 구름많음순창군 -2.4℃
  • 맑음북창원 2.0℃
  • 구름많음양산시 2.4℃
  • 구름많음보성군 -1.3℃
  • 구름많음강진군 -0.6℃
  • 구름많음장흥 -2.7℃
  • 흐림해남 -0.5℃
  • 구름많음고흥 -3.4℃
  • 구름많음의령군 -4.0℃
  • 맑음함양군 -5.3℃
  • 구름많음광양시 0.3℃
  • 흐림진도군 4.4℃
  • 맑음봉화 -6.4℃
  • 맑음영주 -2.9℃
  • 맑음문경 -2.3℃
  • 맑음청송군 -4.2℃
  • 구름조금영덕 -0.6℃
  • 맑음의성 -8.2℃
  • 맑음구미 -0.4℃
  • 구름많음영천 -0.4℃
  • 구름많음경주시 0.5℃
  • 구름많음거창 -1.6℃
  • 구름조금합천 -4.7℃
  • 구름조금밀양 -0.2℃
  • 구름조금산청 -0.7℃
  • 구름조금거제 2.7℃
  • 구름조금남해 1.8℃
기상청 제공

경주 동궁식물원에 핀 시체꽃

인도네시아 원산지인 세계적인 희귀식물 시체꽃 개화 중

 

[경주시=뉴스경북/김승진 기자] 경주의 사계절 관광랜드마크인 동궁식물원내에 세계적으로 희귀종으로 알려져 있는 시체꽃이 개화, 관람객들에게 특별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시체꽃은 2013. 9월 동궁원 개장이후로 두 번째로 핀 것으로 약 3~5년에 걸쳐 개화를 하는 희귀 꽃으로 인도네시아 서부 수마트라 열대우림이 원산지이며, 1878년 이탈리아의 식물학자 오도라도 베카리(Odoardo Beccari)가 영국 왕립식물원으로 씨앗을 보내 1889년 꽃을 피운 이래 일부 국가에 보급되었다. 몇몇 유럽 국가들이 식물원에서 몇 십 년 만에 꽃을 피웠다며 국제적인 뉴스가 되기도 했다.

개화 시 꽃 봉우리만 땅 위로 올라오며 800m 밖에서도 설탕 탄 냄새와 고기 썩는 냄새가 난다고 하여 시체꽃(Corpse flower)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키가 1~3m에 달해 세계에서 가장 큰 꽃으로 알려져 있다.

하루에 10cm 까지 자랄 수 있으며 흙속의 구근은 크기가 보통 감자의 400배 정도이며 무게가 100kg 가량이다.

약속(Amorphophaallus) 식물로 땅속 구근을 가지고 있으며 크게 영양생장 단계와 생식생장 단계로 구분되며 이러한 단계를 반복적으로 하며 생육을 한다. 영양생장 단계에는 주로 땅속 구근에서 줄기와 잎만 땅위로 올라오는데 잎의 모양은 파파야 잎과 유사하며 줄기는 2m 까지 자란다. 주로 3~5년 만에 꽃을 피운다.

 

아시아, 아프리카, 태평양섬 지역에서는 식량대체 작물로 오래전부터 재배를 장려하는 식물 중에 하나로 구근의 전분을 이용하여 음식을 만들며, 특히 인도네시아에서는 민간요법으로 기관지염, 천식, 복통, 구토 등의 치료에도 이용된다.

 

이태현 동궁원장은 “올겨울 휴면에 들어갔던 시체꽃이 다시 생장을 하는 중으로 다른 곳에서는 보기 힘든 희귀식물을 동궁식물원에서 보면서 색다른 즐거움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라며 많은 관람을 홍보했다.<자료제공=식물보존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