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뉴스경북/김승진 기자] 경상북도는 5월 17일부터 5월 21일까지 베트남 후에市에서 열린 제7차‘유네스코 아·태기록유산위원회(MOWCAP)’ 총회에서 한국국학진흥원이 신청한 ‘한국의 편액’이 아태기록유산으로 최종 등재 결정됐다고 밝혔다.
영남지역 189개 문중·서원에서 기탁한 550점의 편액을 2015년 10월에 유네스코 아·태기록유산으로 등재 신청하였고, 유학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 동양의 전통 인문정신과 글씨의 예술적 가치가 동시에 포함된 상징물로서의 의의를 인정받아 아·태기록유산으로 등재 확정되었다.
이로써 ‘한국의 편액’은 한국의 첫번째 아·태기록유산이 되는 쾌거를 이루었고, 세계유산인
‘유교책판’에 이어 한국 기록문화의 우수성과 다양성을 해외에 홍보하는 계기를 만들었다.
편액이란 건물의 처마와 문 사이에 글씨를 새겨 걸어둔 표지판으로, 건물의 기능과 의미, 건물주가 지향하는 가치관을 3~5자 정도로 함축하여 반영한 기록물이다.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아·태기록유산으로 등재신청한 550점의 편액은 건물의 건축 목적에 따라 주거공간(137점), 추모공간(64점), 교육공간(231점), 수양공간(118점)으로 구분되며 대부분 16세기~20세기 초에 제작된 것들로 이루어져 있다.
현재 부분적인 훼손이 진행된 것도 있으나 대부분은 원형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며, 기탁된 이후 안정화 작업을 거쳐 수장고에 보존되고 있다.
앞으로 경북도는 한국국학진흥원과 공동으로 세계기록유산인 ‘유교책판’의 추가 등재를 위해 지속적으로 기탁을 받고 있으며, 편액 또한 곧바로 추가 등재를 준비해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귀중한 기록유산을 단순히 보존하는 차원을 넘어 이를 정리·연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기록유산 등재를 위한 노력을 해나갈 계획이다.
이와는 별도로 세계유산 3건, 세계기록유산 1건 등 총 4건의 세계유산을 보유하고 있는 경북도는 ‘한국의 전통산사’,‘가야고분군’ 등 문화재청 잠정목록 유산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외 조선태실, 팔공산 석조불상군, 종가문화 등도 세계유산 및 세계무형문화유산 문화재청 잠정목록에 등재하기 위해 준비중이다.
한편, 경북도 전화식 문화관광체육국장은 “도내 문화유산의 명품․세계화 추진과 경북의 우수한 문화유산의 국제적 공인으로 문화융성을 선도해 나가고, 도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대한 보존과 관리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자료제공=문화유산과>
경북도 세계유산 등재 추진현황
□ 유형별 등재 완료 유산 : 4건
ㅇ 세계유산 : 3건(석굴암·불국사, 경주역사유적지구, 하회·양동마을)
* 대한민국 : 12건(문화유산 11, 자연유산 1)
** 세계 : 163개국 1,031건(문화 802, 자연 197, 복합 32)
ㅇ 세계기록유산 : 1건(유교책판)
* 대한민국 13건, 세계 107개국 1대륙 4국제기구 348건
ㅇ 인류무형문화유산 : 없음
* 대한민국 18건, 세계 119개국 342건
※ 잠정목록 등재 유산수 : 3건(우리나라 15건)
□ 잠정목록 등재 유산 추진현황
ㅇ 한국의 전통산사 : 2개소(부석사, 봉정사)
- ’16년 학술대회 개최, ’17년 등재신청, ’18년 등재목표
* 타시도 5개寺(법주사, 마곡사, 선암사, 대흥사, 통도사)와 공동 추진
ㅇ 한국의 서원 : 4개소(소수·도산·병산·옥산서원)
- ’16. 4월 등재신청서 철회, ’18년 재신청 및 ’19년 등재목표
* 타시도 5개 서원(도동, 돈암, 무성, 필암, 남계)과 공동 추진
ㅇ 가야고분군
- ’15. 10월, 5개 지자체 MOU(경북도, 고령군, 경남도, 김해시, 함안군)
- ’16년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등재 지자체간 공동추진기구 설립
□ 잠정목록 등재 준비중 유산 추진현황
ㅇ 세계유산 : 2건
- 조선태실 실태조사(’16.4∼12)
- 팔공산 석조불상군 학술조사 : 경북·대구 상생협력과제 선정(’16.5)
ㅇ 인류무형문화유산 : 종가문화(불천위제례 등) 학술용역(’15.10∼’16.8)
<도산서원(교육공간). 도산서원>
<폐려(주거공간). 한산이씨 대산종가>
<송백강릉(추모공간). 청송심씨 대종회>
<겸암정(수양공간) 풍산류씨 대종회 양진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