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2 (금)

  • 구름많음속초 18.4℃
  • 구름조금철원 23.5℃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대관령 20.9℃
  • 구름조금춘천 24.1℃
  • 구름많음백령도 14.6℃
  • 구름많음북강릉 24.7℃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동해 24.6℃
  • 구름많음서울 24.5℃
  • 구름조금인천 22.8℃
  • 맑음원주 24.9℃
  • 맑음울릉도 18.0℃
  • 맑음수원 24.5℃
  • 맑음영월 26.2℃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울진 18.3℃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안동 25.6℃
  • 맑음상주 26.5℃
  • 맑음포항 27.2℃
  • 맑음군산 24.7℃
  • 맑음대구 26.1℃
  • 맑음전주 26.7℃
  • 맑음울산 22.5℃
  • 맑음창원 22.8℃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통영 18.5℃
  • 맑음목포 23.0℃
  • 맑음여수 19.9℃
  • 맑음흑산도 20.9℃
  • 맑음완도 23.9℃
  • 맑음고창 25.3℃
  • 맑음순천 23.0℃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많음성산 20.1℃
  • 구름많음서귀포 20.3℃
  • 맑음진주 23.1℃
  • 구름조금강화 22.5℃
  • 구름조금양평 23.1℃
  • 맑음이천 25.1℃
  • 구름조금인제 23.1℃
  • 구름조금홍천 24.7℃
  • 맑음태백 23.4℃
  • 구름조금정선군 24.9℃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부안 25.4℃
  • 맑음임실 24.8℃
  • 맑음정읍 25.8℃
  • 맑음남원 26.2℃
  • 맑음장수 24.6℃
  • 맑음고창군 25.7℃
  • 맑음영광군 25.2℃
  • 맑음김해시 23.5℃
  • 맑음순창군 24.6℃
  • 맑음북창원 25.3℃
  • 맑음양산시 24.4℃
  • 맑음보성군 22.2℃
  • 맑음강진군 22.8℃
  • 맑음장흥 21.4℃
  • 맑음해남 24.3℃
  • 맑음고흥 22.9℃
  • 맑음의령군 26.6℃
  • 맑음함양군 27.1℃
  • 맑음광양시 23.0℃
  • 맑음진도군 20.6℃
  • 맑음봉화 24.8℃
  • 맑음영주 24.1℃
  • 맑음문경 25.2℃
  • 맑음청송군 26.8℃
  • 맑음영덕 23.4℃
  • 맑음의성 27.1℃
  • 맑음구미 26.7℃
  • 맑음영천 26.5℃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창 26.8℃
  • 맑음합천 26.4℃
  • 맑음밀양 26.5℃
  • 맑음산청 24.5℃
  • 맑음거제 21.0℃
  • 맑음남해 22.8℃
기상청 제공

안동의 서원에서 만나는 배롱나무꽃

 

고풍스런 서원정자와 분홍빛 배롱나무의 만남


병산서원, 체화정 등에 분홍빛 환상 분위기 연출

 

 

배롱나무로 유명한 병산서원과 체화정, 육사로 등 안동 곳곳마다 배롱나무 꽃이 활짝 펴 분홍빛 장관을 연출하고 있다.

 

[안동시=뉴스경북/김두래 기자] 백일홍이라고도 불리는 배롱나무는 7월부터 꽃이 피기 시작해 백일동안 차례로 분홍 꽃을 피워 한여름 폭염에도 화사함을 연출한다.

 

나무가 크지 않아 옆으로 퍼지면서 나무줄기의 곡선과 빛깔이 멋지고 맵시가 있어 보는 이의 눈을 즐겁게 한다. 특히 안동지역의 서원과 정자 등에 핀 백일홍은 한옥의 곡선미와 어우러지면서 환상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배롱나무 집단 식재지인 병산서원도 분홍빛으로 물들었다. 예부터 배롱나무는 사찰이나 선비들의 공간에 많이 심었다 한다. 이는 배롱나무가 껍질을 다 벗어 버리듯 스님들도 세속을 벗어버리길 바라는 마음에서이고, 선비들의 거처 앞에 심는 것은 청렴을 상징하는 때문이라 한다. 이 때문인지 병산서원에는 지난 2008년 4월 7일 보호수로 지정된 수령 380년, 수고 8m, 둘레 0.85m인 배롱나무를 포함해 약 120여 그루가 집단 식재되어 있다.

 

풍산읍 초입에 위치한 체화정은 규모는 작지만 연못과 정자가 함께 어우러져 또 다른 묘미를 선사한다. 체화정은 효종 때 진사 이민적(李敏迪, 1702~1763)이 형 옥봉 이민정과 함께 살면서 우애를 다지던 장소로 유명하다. 체화(棣華)’란 형제간의 화목과 우애를 상징하는 것으로 『시경(詩經)』에서 그 의미를 따왔다고 한다. 체화정 좌우에 서 있는 배롱나무 두 그루는 마치 아름다운 형제의 우애를 상징하는 듯 하다.

 

이 밖에도 시는 지난 2004년까지 육사로 중앙화단에 배롱나무 280그루를 비롯해 옥동로와 용상로, 석주로 등 시내 곳곳에도 배롱나무가 꽃을 피우며  시가지가 분홍빛으로 물들었다.

 

병산서원을 찾은 한 관광객은 “병산서원에 와 보니 병풍처럼 펼쳐진 절벽과 낙동강, 그리고 배롱나무가 마치 분홍 구름위에 떠있는 듯 착각에 빠질 것 같다.”며 환호했다.<자료제공=안동시공보>

 

 

[묵계서원]

 

 

[병산서원]

 

 

 

 

 

 

 

 

 

 

[체화정]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