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고령화로 인해 전국의 시·군·구 중 84곳이 30년 내에 사라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경북에서도 16곳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 중 의성군이 높게 나타났다.
[경북도=뉴스경북/김승진 기자]
황영철 새누리당 의원이 20일 고용노동부 산하 한국고용정보원에 의뢰해 받은 ‘한국의 지방소멸 위험지역 현황’에 의하면 경북 의성군을 비롯한 84개 지자체가 ‘지방소멸’ 위기 단계로 나타났다.
*지방소멸은 일본 창성회의 의장인 마스다 히로야(增田寬也)가 자신의 저서 『지방소멸』에서 도입한 개념이다.
20~39세 가임기 여성인구를 65세 이상 고령의 여성인구로 나눠 지방소멸 위험 지수(1 이하면 인구쇠퇴 주의단계)를 산출했다. 가임기 여성 인구수가 고령 인구수의 절반(0.5)이 안 되면 30년 후에는 마을이 소멸할 것으로 해석한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이 공식을 적용할 경우 인구소멸 위험단계인 지역은 2014년 79곳에서 올해 7월 기준 84곳으로 늘어났다. 20~39세 여성이 65세 이상보다 많은 지역은 서울·인천·광주·대전·울산·세종 등 6개 도시뿐이었다. 대구는 인구쇠퇴 주의단계에 들어설 것으로 봤다.
지역별로는 경북 의성군이 고령자 1000명당 20~39세 여성 숫자가 168명뿐으로 인구소멸 위험이 높았다. 전남 고흥군(177명), 경북 군위군(178명), 경남 합천군(188명)도 비슷한 상황이다.
축제로 들썩일 10월을 맞으며 시골 작은 초등학교 운동장에 펼럭이는 만국기만 쳐다볼때가 아닌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