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4 (일)

  • 구름많음속초 18.4℃
  • 구름조금철원 23.5℃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대관령 20.9℃
  • 구름조금춘천 24.1℃
  • 구름많음백령도 14.6℃
  • 구름많음북강릉 24.7℃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동해 24.6℃
  • 구름많음서울 24.5℃
  • 구름조금인천 22.8℃
  • 맑음원주 24.9℃
  • 맑음울릉도 18.0℃
  • 맑음수원 24.5℃
  • 맑음영월 26.2℃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울진 18.3℃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안동 25.6℃
  • 맑음상주 26.5℃
  • 맑음포항 27.2℃
  • 맑음군산 24.7℃
  • 맑음대구 26.1℃
  • 맑음전주 26.7℃
  • 맑음울산 22.5℃
  • 맑음창원 22.8℃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통영 18.5℃
  • 맑음목포 23.0℃
  • 맑음여수 19.9℃
  • 맑음흑산도 20.9℃
  • 맑음완도 23.9℃
  • 맑음고창 25.3℃
  • 맑음순천 23.0℃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많음성산 20.1℃
  • 구름많음서귀포 20.3℃
  • 맑음진주 23.1℃
  • 구름조금강화 22.5℃
  • 구름조금양평 23.1℃
  • 맑음이천 25.1℃
  • 구름조금인제 23.1℃
  • 구름조금홍천 24.7℃
  • 맑음태백 23.4℃
  • 구름조금정선군 24.9℃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부안 25.4℃
  • 맑음임실 24.8℃
  • 맑음정읍 25.8℃
  • 맑음남원 26.2℃
  • 맑음장수 24.6℃
  • 맑음고창군 25.7℃
  • 맑음영광군 25.2℃
  • 맑음김해시 23.5℃
  • 맑음순창군 24.6℃
  • 맑음북창원 25.3℃
  • 맑음양산시 24.4℃
  • 맑음보성군 22.2℃
  • 맑음강진군 22.8℃
  • 맑음장흥 21.4℃
  • 맑음해남 24.3℃
  • 맑음고흥 22.9℃
  • 맑음의령군 26.6℃
  • 맑음함양군 27.1℃
  • 맑음광양시 23.0℃
  • 맑음진도군 20.6℃
  • 맑음봉화 24.8℃
  • 맑음영주 24.1℃
  • 맑음문경 25.2℃
  • 맑음청송군 26.8℃
  • 맑음영덕 23.4℃
  • 맑음의성 27.1℃
  • 맑음구미 26.7℃
  • 맑음영천 26.5℃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창 26.8℃
  • 맑음합천 26.4℃
  • 맑음밀양 26.5℃
  • 맑음산청 24.5℃
  • 맑음거제 21.0℃
  • 맑음남해 22.8℃
기상청 제공

지역뉴스

저출산 고령화로 전국 시,군,구 84곳 30년내 사라질 듯 ... 경북 의성 포함

경북 의성군 고령자 1000명당 20~39세 여성 숫자 168명뿐으로 인구소멸 위험 높아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전국의 시·군·구 중 84곳이 30년 내에 사라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경북에서도 16곳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 중 의성군이 높게 나타났다.

 

[경북도=뉴스경북/김승진 기자]



황영철 새누리당 의원이 20일 고용노동부 산하 한국고용정보원에 의뢰해 받은 ‘한국의 지방소멸 위험지역 현황’에 의하면 경북 의성군을 비롯한 84개 지자체가 ‘지방소멸’ 위기 단계로 나타났다.

 

*지방소멸은 일본 창성회의 의장인 마스다 히로야(增田寬也)가 자신의 저서 『지방소멸』에서 도입한 개념이다.

20~39세 가임기 여성인구를 65세 이상 고령의 여성인구로 나눠 지방소멸 위험 지수(1 이하면 인구쇠퇴 주의단계)를 산출했다. 가임기 여성 인구수가 고령 인구수의 절반(0.5)이 안 되면 30년 후에는 마을이 소멸할 것으로 해석한다.

 

지난해 기준 80개 지자체에서 4곳이 소멸 위험 지역에 추가됐다. 강원 삼척(0.488)과 부산 동구(0.491) 영도구(0.499), 경남 함안(0.495) 등이다.
 
도별로는 전남 17곳, 경북 16곳, 경남 11곳, 전북 10곳, 강원 8곳 등이 인구소멸위험단계에 들어섰다는 분석이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이 공식을 적용할 경우 인구소멸 위험단계인 지역은 2014년 79곳에서 올해 7월 기준 84곳으로 늘어났다. 20~39세 여성이 65세 이상보다 많은 지역은 서울·인천·광주·대전·울산·세종 등 6개 도시뿐이었다. 대구는 인구쇠퇴 주의단계에 들어설 것으로 봤다.

 

우리나라 전체를 봤을때 지난 7월 기준 20~39세 전국 여성인구는 689만8000명으로 65세 이상 690만3000명보다 적어 소멸위험지수 1.0 이하를 기록했다.
 
광역시도별로 보면 대구는 지난해 7월 1.0에서 올해 7월 0.977로 인구쇠퇴주의단계에 처음 접어들었다. 전남은 지난해 0.51에서 올해 0.50으로 인구소멸 위험 단계에 진입했다. 



지역별로는 경북 의성군이 고령자 1000명당 20~39세 여성 숫자가 168명뿐으로 인구소멸 위험이 높았다. 전남 고흥군(177명), 경북 군위군(178명), 경남 합천군(188명)도 비슷한 상황이다.

 

축제로 들썩일 10월을 맞으며 시골 작은 초등학교 운동장에 펼럭이는 만국기만 쳐다볼때가 아닌 것 같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