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6 (화)

  • 구름많음속초 18.4℃
  • 구름조금철원 23.5℃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대관령 20.9℃
  • 구름조금춘천 24.1℃
  • 구름많음백령도 14.6℃
  • 구름많음북강릉 24.7℃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동해 24.6℃
  • 구름많음서울 24.5℃
  • 구름조금인천 22.8℃
  • 맑음원주 24.9℃
  • 맑음울릉도 18.0℃
  • 맑음수원 24.5℃
  • 맑음영월 26.2℃
  • 맑음충주 25.4℃
  • 맑음서산 21.4℃
  • 맑음울진 18.3℃
  • 맑음청주 25.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6.0℃
  • 맑음안동 25.6℃
  • 맑음상주 26.5℃
  • 맑음포항 27.2℃
  • 맑음군산 24.7℃
  • 맑음대구 26.1℃
  • 맑음전주 26.7℃
  • 맑음울산 22.5℃
  • 맑음창원 22.8℃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통영 18.5℃
  • 맑음목포 23.0℃
  • 맑음여수 19.9℃
  • 맑음흑산도 20.9℃
  • 맑음완도 23.9℃
  • 맑음고창 25.3℃
  • 맑음순천 23.0℃
  • 맑음홍성(예) 23.7℃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고산 18.1℃
  • 구름많음성산 20.1℃
  • 구름많음서귀포 20.3℃
  • 맑음진주 23.1℃
  • 구름조금강화 22.5℃
  • 구름조금양평 23.1℃
  • 맑음이천 25.1℃
  • 구름조금인제 23.1℃
  • 구름조금홍천 24.7℃
  • 맑음태백 23.4℃
  • 구름조금정선군 24.9℃
  • 맑음제천 23.9℃
  • 맑음보은 25.4℃
  • 맑음천안 24.9℃
  • 맑음보령 22.5℃
  • 맑음부여 24.9℃
  • 맑음금산 26.8℃
  • 맑음부안 25.4℃
  • 맑음임실 24.8℃
  • 맑음정읍 25.8℃
  • 맑음남원 26.2℃
  • 맑음장수 24.6℃
  • 맑음고창군 25.7℃
  • 맑음영광군 25.2℃
  • 맑음김해시 23.5℃
  • 맑음순창군 24.6℃
  • 맑음북창원 25.3℃
  • 맑음양산시 24.4℃
  • 맑음보성군 22.2℃
  • 맑음강진군 22.8℃
  • 맑음장흥 21.4℃
  • 맑음해남 24.3℃
  • 맑음고흥 22.9℃
  • 맑음의령군 26.6℃
  • 맑음함양군 27.1℃
  • 맑음광양시 23.0℃
  • 맑음진도군 20.6℃
  • 맑음봉화 24.8℃
  • 맑음영주 24.1℃
  • 맑음문경 25.2℃
  • 맑음청송군 26.8℃
  • 맑음영덕 23.4℃
  • 맑음의성 27.1℃
  • 맑음구미 26.7℃
  • 맑음영천 26.5℃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창 26.8℃
  • 맑음합천 26.4℃
  • 맑음밀양 26.5℃
  • 맑음산청 24.5℃
  • 맑음거제 21.0℃
  • 맑음남해 22.8℃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대구수목원, 우리 지역 희귀식물에 관한 책자 발간

대구·경북의 희귀식물 173종 담아 무료로 배부

 

 

대구수목원은 우리지역에서 자라고 있는 식물들 중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이 제시한 국제적 평가기준에 따라 희귀식물 173종을 선별한『대구·경북의 희귀식물』책자를 발간하여 시민들에게 무료로 배부한다.

 

[대구시=뉴스경북/정재화 기자]

 

급변해가는 환경과 기후변화로 인해 우리 곁에서 자취를 감추어가고 있는 지역의 소중한 희귀식물을 국제적 평가기준인 5개의 등급별로 수록하여, 시민들이 우리 주변의 나무와 풀들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했다.

 

대구수목원은 책자 제작을 위해 지난 1년간 수많은 식물관련 고서와 문헌, 자료 등을 토대로 수록내용을 조사했으며, 어디에서 자라고 는지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분포지도뿐만 아니라 식물명의 유래를 함께 수록하여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수 있도록 했다.

 

책자 속의 내용을 보면, 희귀하고 중요한 우리지역의 식물에 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 (사례1) 극단적으로 높은 절멸 위기에 직면한 멸종위기종(Critically Endangered, CR)인 구름병아리난초는 우리지역 성주와 봉화에 생하며 분포지가 적고 개체수가 많지 않아 보전대책이 필요합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식물 2급으로 지정되어 있고, 높은 고산에서 주로 자라며, 병아리처럼 작은 난초라 하여 구름병아리난초라 불리고 있습니다.

 

 

- (사례2) 매우 높은 절멸 위기에 직면한 위기종(Endangered Species, EN)인 꼬리말발도리는 우리지역 대구, 경주, 청도, 영천에 자생하며, 환경 변화로 인해 개화율이 낮아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한국특산식물로 흰 꽃이 꼬리처럼 뭉쳐서 피며, 열매가 말발굽에 끼는 편자처럼 생겨 꼬리말발도리라 불리고 있습니다.

 

 

- (사례3) 높은 절멸 위기에 직면한 취약종(Vulnerable, VU)인 세뿔투구꽃은 우리지역 대구, 안동, 의성, 구미, 성주에 자생하며, 개체수가 많지 않아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보전대책이 필요합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식물 2급일 뿐만 아니라 한국특산식물이고, 삼각형의 잎이 세 개의 뿔처럼 생겼으며, 꽃은 전쟁 시 머리를 보호하기 위해 쓰던 투구를 닮아 세뿔투구꽃이라 불리고 있습니다.

 

 

- (사례4) 비교적 널리 퍼져 있고 개체수가 많은 약관심종(Least Concern, LC)인 측백나무는 우리지역 대구, 영양, 안동, 울진 등 석회암지대에서 자생하며 대구 동구 도동의 측백수림은 천연기념물 1호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측백나무는 석회광산 개발로 인한 자생지훼손이 우려되는 종으로 손바닥처럼 작고 납작한 잎이 한쪽 측면으로만 자라는 모습을 본떠 옆으로 치우친 나무라하여 측백이 되었다는 유래가 있습니다.

 

 

 

- (사례5) 환경조건의 변화로 인해 멸종위기종으로 갈 수 있으나 평가할 만큼의 정보가 부족한 자료부족종(Data Deficient, DD)인 큰구와꼬리풀은 우리지역 대구, 경주, 의성, 상주, 문경, 청송, 칠곡, 예천, 울진, 영천, 구미, 영양 등 대구·경북 일대에만 자생하는 한국특산식물로 식물자원의 현지내외 보전이 필요합니다. 구와는 국화를 의미하는데 잎 모양이 국화잎을 닮아 국화를 닮은 꼬리풀이라는 뜻에서 구와꼬리풀이라 불리고 있습니다.

 

대구·경북의 희귀식물』책자는 수목원관리사무소 2층 교육연구팀에서 시민들에게 선착순으로 무료 배부하며, 자세한 사항은 수목원관리사무소(T.053-640-4100)로 문의하면 된다.

 

대구시 이영철 수목원관리사무소장은 “급변해가는 기후와 환경으로 인해 우리의 소중한 자원이 우리 곁에서 자취를 감추어가고 있음에 안타까울 따름이다”면서, “『대구·경북의 희귀식물』책자를 통해 시민들이 우리지역 식물의 소중함과 존귀함을 알고, 자연과 함께 공존하는 삶을 살아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자료제공/교육연구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