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책판 세계기록유산 등재 1주년 기념식 및 국제학술대회’가 8일 한국국학진흥원 대강당에서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이용두) 주관으로 열렸다.
[경북도=뉴스경북/김승진 기자]
이날 행사에는 김장주 경북도 행정부지사, 나선화 문화재청장, 이상진 국가기록원장과 로타르 요단 유네스코 교육연구소위원회 의장(독일), 죠이 스프링거 前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프로그램 담당관(바베이도스)을 비롯한 국내외 세계기록유산 전문가, 관련 문중 등 500여 명이 참석했다.
특히, 이날 기념식에 앞서 한국국학진흥원과 유네스코는 한국국학진흥원 내에 ‘한국 세계기록유산 지식센터’를 설립키로 하고, 국내외 세계기록유산 관련자료 수집과 기초연구 자료 제공, 세계기록유산 교육 프로그램 개발․보급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협약식을 가졌다.
한국국학진흥원은 이번 협약으로 세계기록유산(유교책판)과 아태기록유산(한국의 편액)을 동시에 보유한 국내 유일기관으로서 한국의 기록유산 대표기관으로 자리매김하게 됐다.
아울러 ‘기억, 기록 그리고 보존’이라는 주제로 8일부터 9일까지 2일간 열리는 국제학술행사는 세계기록유산에 대한 보존과 활용의 국제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향후 국제적인 공조를 통해 기록유산을 보존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한편, 한국국학진흥원은 2002년부터 국내 문중과 개인을 대상으로 목판 10만장 수집운동을 전개해 718종 64,226장을 기탁 받았다.
오랜 시간 꾸준한 노력의 결과물인‘유교책판’은 세계사적으로 유례가 없는 공동편찬과 공동출판, 그리고 지식공동체의 전승이라는 독보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5년 10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됐다.
김장주 경상북도 행정부지지사는 이날 환영사에서 “세계유산 최다 보유 광역지자체로서 향후 세계유산 추가 등재에 국내외 세계유산 전문가들의 많은 협조를 당부한다.”며, “한국국학진흥원을 세계적인 기록문화 중심기관으로 육성해 나가겠다.” 말했다.
<자료제공/문화유산과>
<주요발표자 및 토론자>
연번 |
성 명 |
직 위 |
국 적 |
참석 여부 |
비 고 |
1 |
죠이 스프링거 Joie Springer |
유네스코 국제자문위원회 등재심사소위원회 위원 |
바베이도스 |
참석 |
여(발표 ) |
2 |
로타르 요단 Lothar Jordan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 부의장 |
독 일 |
참석 |
남(“ ) |
3 |
파파 모마르 디오프 Papa Momar DIOP |
유네스코 국제자문위원회 위원 |
세네갈 |
참석 |
남(“ ) |
4 |
부 티 민 홍 VU THI Minh Huong |
MOWCAP 부의장 |
베트남 |
참석 |
여(“ ) |
5 |
신승운 |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동산분과 위원장 |
한국 |
참석 |
남(“ ) |
6 |
안종철 |
(전)5.18민주화운동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등재추진 담당 |
한국 |
참석 |
남(“ ) |
7 |
김상헌 |
상명대학교 역사콘텐츠학과 교수 |
한국 |
참석 |
남(“ ) |
8 |
김귀배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커뮤니케이션팀장 |
한국 |
참석 |
남(토론) |
9 |
임기대 |
전남대학교 아프리카학부 교수 |
한국 |
참석 |
남(“ ) |
10 |
차용구 |
중앙대학교 역사학과교수 |
한국 |
참석 |
남(“ ) |
<주요참석자>
연번 |
성 명 |
직 위 |
비 고 |
1 |
나선화 |
문화재청장 |
|
2 |
이상진 |
국가기록원장 |
|
3 |
김성진 |
안동시의회의장 |
|
4 |
고영산 |
KBS 안동방송국장 |
|
5 |
이재업 |
유교문화보존회장 |
|
6 |
조국래 |
박약회 대구지회장 |
|
7 |
이원흥 |
영종회장 |
|
8 |
안승관 |
성균관유도회경북본부회장 |
|
9 |
김동섭 |
(사)한국음양지리학회장 |
|
10 |
김종길 |
도산서원선비문화수련원장 |
|
11 |
안철호 |
(사)전국한자교육추진총연합회경북지회장 |
|
12 |
임대식 |
청년유도회중앙회장 |
|
13 |
이방수 |
경북문화유산보존회장 |
|
14 |
이재춘 |
안동문화원장 |
|
15 |
이항증 |
광복회 경상북도지부장 |
|
16 |
나간채 |
5.18민주화운동기록관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