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8 (목)

  • 맑음속초 17.2℃
  • 구름조금철원 17.2℃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대관령 17.3℃
  • 구름많음춘천 16.3℃
  • 흐림백령도 10.7℃
  • 맑음북강릉 19.4℃
  • 맑음강릉 20.3℃
  • 맑음동해 18.2℃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인천 16.9℃
  • 구름많음원주 17.5℃
  • 맑음울릉도 16.4℃
  • 맑음수원 17.4℃
  • 구름많음영월 17.4℃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구름조금울진 17.3℃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구름조금안동 18.5℃
  • 구름조금상주 17.7℃
  • 맑음포항 19.5℃
  • 맑음군산 17.8℃
  • 맑음대구 19.0℃
  • 맑음전주 19.1℃
  • 맑음울산 20.0℃
  • 맑음창원 20.6℃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통영 18.4℃
  • 맑음목포 18.7℃
  • 맑음여수 16.8℃
  • 맑음흑산도 17.4℃
  • 맑음완도 20.4℃
  • 맑음고창 18.4℃
  • 맑음순천 17.8℃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맑음성산 18.6℃
  • 맑음서귀포 19.0℃
  • 맑음진주 17.7℃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많음양평 16.0℃
  • 구름많음이천 16.7℃
  • 맑음인제 17.4℃
  • 구름많음홍천 17.2℃
  • 구름조금태백 19.4℃
  • 구름조금정선군 18.1℃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부안 18.0℃
  • 맑음임실 18.3℃
  • 맑음정읍 18.9℃
  • 맑음남원 17.3℃
  • 맑음장수 18.3℃
  • 맑음고창군 19.2℃
  • 맑음영광군 19.3℃
  • 맑음김해시 19.6℃
  • 맑음순창군 17.5℃
  • 맑음북창원 19.3℃
  • 맑음양산시 20.7℃
  • 구름조금보성군 18.4℃
  • 맑음강진군 18.7℃
  • 맑음장흥 18.9℃
  • 맑음해남 19.5℃
  • 맑음고흥 19.5℃
  • 맑음의령군 19.0℃
  • 맑음함양군 17.8℃
  • 맑음광양시 19.4℃
  • 구름조금진도군 18.8℃
  • 구름조금봉화 17.8℃
  • 구름조금영주 17.6℃
  • 구름조금문경 17.2℃
  • 구름조금청송군 20.2℃
  • 구름조금영덕 20.5℃
  • 맑음의성 19.6℃
  • 맑음구미 20.0℃
  • 맑음영천 19.3℃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창 18.3℃
  • 구름조금합천 18.0℃
  • 구름조금밀양 20.1℃
  • 맑음산청 18.2℃
  • 맑음거제 19.7℃
  • 맑음남해 17.1℃
기상청 제공

지역뉴스

위기를 기회로... 영일만항 재도약 가시화!

인입철도 완공, 냉동․냉장 창고 건립, 우드펠릿 수입 등 호재

 

"대구․경북의 유일한 컨테이너항만인 포항영일만항이 종합적 항만물류 기능은 물론, 산업 및 경제활동 중심지, 해양관광 기능 등을 포함하는 4세대 항만을 목표로 개발되고 있다"

 

 

[경북도=뉴스경북/석천수 기자]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경제질서의 급변함과,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하는 선진 경제권에서의 경제침체가 지속되면서, 유라시아 대륙과 환동해경제권을 중심으로 한 아태지역이 점차 세계 경제성장의 중심축으로 부상하고 있다.

 

포항영일만항이 환동해지역의 발전을 견인할 수 있다는 주요 요인은 국제 해상물류 교통의 중심지로 발전할 수 있는 입지적 장점이다.

 

대구․경북의 유일한 컨테이너항만인 포항영일만항은 환동해권 국제물류 거점항만으로 성장하기 위해 종합적 항만물류 기능은 물론, 산업 및 경제활동 중심지, 해양관광 기능 등을 포함하는 4세대 항만을 목표로 개발이 진행 중이다.

 

 

                       ▲포항영일만항 개발 조감도

 

포항영일만항 개발사업은 총사업비 2조 8,463억원이 투입되며, 접안시설 16선석, 방파제 7.3km, 항만배후단지 1,263천㎡, 국제여객부두 310m 등을 조성하는 대규모 항만개발 사업이다.

 

2009년 8월, 포항영일신항만(주) 민자 컨테이너부두(2천TEU급 4선석) 개장을 비롯하여, 현재까지 일반부두(2선석), 역무선 부두, 어항 및 기타시설, 북방파제(1·2단계), 남방파제(1단계) 등이 준공됐다.

 

올해 4월에는 국제여객부두 기본 및 실시설계가 착수돼 본격적으로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내년 2월 설계가 완료되면 6월에 착공해 2020년까지 준공한다는 계획이다.

 

2009년 8월 컨테이너부두 4선석으로 개장한 포항영일만항은 2016년 10월 기준 누적 물동량 80만4천TEU를 달성했다.

 

개장 첫해 5,257TEU 처리를 시작으로 쌍용, 마쯔다의 對러시아 자동차 수출물량과 포스코 및 철강산단의 물동량 확보로 매년 화물처리량이 증가해 2012년에는 14만7천TEU의 화물을 유치했다.

 

그러나 2012년 이후 세계 철강경기 침체가 장기화 되고 러시아 경기 침체로 인한 루블화 급락으로 물동량이 대폭 감소해 2015년에는 화물처리량이 9만1천TEU에 그쳤다. 또한, 올해 10월까지 누적 물동량은 7만3천TEU로 작년과 비슷한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예상된다.

 

 

포항영일만항은 컨테이너항만 후발주자로 세계 철강경기 및 조선․해운경기 침체, 부산항과 인접, 항만인프라 부족, 해상 운송네트워크 제한, 수출입화물의 소수품목 제한, 포항영일신항만(주) 재정여건 약화 등의 제약요인으로 화물유치가 어려운 실정이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선박 접안시설은 비교적 우수하게 갖추었으나 이를 지원해 부가가치와 물동량을 창출할 수 있는 배후단지 및 인입철도 등의 시설이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내년 상반기에는 영일만항 배후단지에 냉동․냉장창고 건립이 완료될 예정이며, 농수산물과 가공제품의 수출입 물동량 확보가 가능하게 될 것이다. 또한, 2017년 인입철도가 완공되면 물류비 절감과 항만 접근성 높아져 항만경쟁력 제고에 보탬이 될 것이다.

 

현재 영일만항은 일본, 중국, 러시아, 싱가폴, 말레이시아 등 5개국 21개 항만에 기항하고 있으며, 부산에서 환적을 통해 유럽, 미주를 포함한 전 세계로 수출입 서비스가 가능하다.

 

<포항영일만항 항로현황>

 

 

 

하지만 대부분 주1항차로 짧은 화물인도기간(Lead Time)을 선호하는 화주 및 국제물류주선업자(이하 포워더)들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에, 포항 및 인근지역으로 수출입되는 화물이 많은 국가 및 도시를 특화항로로 지정해 신규 항로를 개설하고, 개설된 항로로 화물을 유치해 항차수를 늘려가는 점차적인 해상 네트워크 확장을 계획 중이다.

 

포항영일만항에서 처리하는 화물은 자동차와 철강제품의 비중이 높으며, 특정 화물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면 항만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기업유치 및 사업다각화로 특정 제품군에 대한 의존도를 낮춰야한다.

 

<포항영일만항 품목별 물동량 현황>

단위 : TEU(%)

구 분

2013년

2014년

2015년

자동차

98,238(68.3)

87,246(62.2)

38,739(42.4)

철강 및 부원료

38,748(26.9)

47,917(34.1)

44,144(48.4)

기타화물

6,880(4.8)

5,160(3.7)

8,338(9.2)

합계

143,866

140,323

91,271

 

 

2017년부터는 냉동․냉장 화물 및 우드펠릿 수출입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내년에 영일만항 배후단지에 냉동․냉장 물류센터가 건립되면 매년 2만 TEU 수준의 물동량이 창출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한국남동발전의 우드펠릿 수입 화물 유치가 가시화되는 등 사업다각화에 노력 중이다.

 

영일만항의 협약물동량 대비 낮은 실제처리물동량과 낮은 하역비 등으로 포항영일신항만(주)의 수익구조가 악화돼, 2015년에 자기자본이 완전 잠식되는 등 재정여건이 약화됐다.

 

지속적으로 사업재구조화 추진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현재 기획재부와 협의중으로 내년 상반기에는 사업재구조화의 실질적인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영일만항은 2012년 이후 지속적인 물동량 침체로 현재 ‘위기’인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영일만항의 미래는 희망이 있다.

현재 추진되고 있는 항만인프라 확충과 해상네트워크 확대, 사업의 다각화 등은 물동량 확대로 직접 이어지는 사업들이며, 내년부터는 가시화 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항만뿐만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경북도 관계자는 “영일만항의 화물유치를 위해 인센티브 지급과 포트세일즈를 계속 병행할 것이며, 사업재구조화와 항만인프라 조성을 위한 중앙부처와 협의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내년부터는 신규화물(냉동·냉장화물 및 우드펠릿)의 실질적유치가 가능하다. 이는, 항로․항차수 확보로 연결될 것이고 항만인프라(인철도, 국제여객부두 등) 확충과 함께 시너지 효과를 낼 것이며, 영일만항 경쟁력 제고와 항만활성화로 이어질 것이다.”고 밝혔다.

 

<사진.자료제공/항만물류과>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