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9 (화)

  • 맑음속초 28.7℃
  • 맑음철원 30.5℃
  • 맑음동두천 32.0℃
  • 맑음대관령 30.4℃
  • 맑음춘천 29.7℃
  • 맑음백령도 28.2℃
  • 맑음북강릉 32.3℃
  • 맑음강릉 33.9℃
  • 맑음동해 28.9℃
  • 맑음서울 32.7℃
  • 맑음인천 31.5℃
  • 맑음원주 32.2℃
  • 맑음울릉도 29.9℃
  • 맑음수원 32.9℃
  • 맑음영월 31.3℃
  • 맑음충주 32.0℃
  • 맑음서산 32.9℃
  • 맑음울진 27.3℃
  • 맑음청주 33.1℃
  • 맑음대전 32.8℃
  • 맑음추풍령 30.0℃
  • 맑음안동 32.6℃
  • 맑음상주 31.2℃
  • 맑음포항 30.0℃
  • 맑음군산 31.7℃
  • 맑음대구 31.6℃
  • 맑음전주 34.0℃
  • 맑음울산 31.0℃
  • 구름조금창원 31.6℃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통영 31.2℃
  • 맑음목포 31.6℃
  • 맑음여수 30.1℃
  • 맑음흑산도 30.1℃
  • 맑음완도 34.4℃
  • 맑음고창 33.1℃
  • 맑음순천 31.0℃
  • 맑음홍성(예) 32.8℃
  • 구름조금제주 29.9℃
  • 구름조금고산 32.9℃
  • 맑음성산 30.1℃
  • 맑음서귀포 33.6℃
  • 맑음진주 31.5℃
  • 맑음강화 30.8℃
  • 맑음양평 30.7℃
  • 맑음이천 31.7℃
  • 맑음인제 30.8℃
  • 맑음홍천 31.0℃
  • 맑음태백 30.7℃
  • 맑음정선군 32.8℃
  • 맑음제천 30.1℃
  • 맑음보은 30.5℃
  • 맑음천안 31.6℃
  • 맑음보령 33.7℃
  • 맑음부여 31.9℃
  • 맑음금산 30.8℃
  • 맑음부안 32.8℃
  • 맑음임실 31.4℃
  • 맑음정읍 33.7℃
  • 맑음남원 32.7℃
  • 맑음장수 30.4℃
  • 맑음고창군 33.4℃
  • 맑음영광군 32.7℃
  • 구름조금김해시 30.0℃
  • 맑음순창군 32.6℃
  • 구름조금북창원 32.0℃
  • 구름조금양산시 31.0℃
  • 맑음보성군 32.3℃
  • 맑음강진군 33.3℃
  • 맑음장흥 32.6℃
  • 맑음해남 32.5℃
  • 맑음고흥 32.6℃
  • 맑음의령군 30.7℃
  • 맑음함양군 31.2℃
  • 맑음광양시 32.1℃
  • 맑음진도군 32.8℃
  • 맑음봉화 30.7℃
  • 맑음영주 30.6℃
  • 맑음문경 30.5℃
  • 맑음청송군 32.8℃
  • 맑음영덕 30.1℃
  • 맑음의성 32.5℃
  • 맑음구미 33.2℃
  • 맑음영천 31.7℃
  • 맑음경주시 31.9℃
  • 맑음거창 30.7℃
  • 맑음합천 32.0℃
  • 맑음밀양 32.9℃
  • 맑음산청 31.1℃
  • 구름조금거제 29.1℃
  • 맑음남해 30.4℃
기상청 제공

안동민속박물관, 특별기획전 「안동의 상여집」사진전 개최

박물관 학술총서 제22집으로 발간된 ‘안동의 상여집’.. 168곳의 상엿집 중에서 30여 곳 선별해 전시

풍천 하회, (사진 아래)도산 태자 산  소재

 

[뉴스경북=김승진 기자] 안동민속박물관(관장 송승규)2017년 하반기 별관 기획전으로 안동의 상여집사진 전시회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박물관 학술총서 제22집으로 발간된 안동의 상여집이 많은 사람들의 관심과 문의가 쇄도해 학술총서에 수록된 168곳의 상엿집 중에서 30여 곳을 선별해 전시한다.


우리 민족은 사람이 태어나 한 생()을 살다가 죽음을 맞게 되면 영혼[]과 육신[]이 분리된다고 생각했다.


그렇기 때문에 생명을 다한 육신(肉身)은 땅에 묻혀 한 줌 흙으로 돌아가지만 영혼은 이승에서 저승으로 장소만 옮겨갈 뿐 영원하다고 믿었다.


따라서 민족마다 죽은 사람을 마지막으로 보내는 의례를 상례(喪禮)했고, 상례의 절차와 방식은 산 사람이 죽음을 어떻게 받아들이는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사후세계를 어떻게 보는가에 따라서도 달리한다.


이와 같이 상례의 시작은 곧 사후세계가 있다는 믿음에서부터 출발하게 되며 죽은 사람을 장사 지낼 때 수반되는 모든 절차와 의례도 영혼과 육신을 구분해서 행하게 된다. 그러므로 죽은 사람이 이승에서 저승으로 가기 위해 마지막으로 타고 가는 탈 것도 영혼을 운반하는 영여(靈輿)와 주검을 운구하는 상여(喪輿)로 구분했다.


상엿집이란, 죽은 사람이 이승에서 저승으로 가기 위해 마지막으로 타고 가는 영여와 상여 그리고 상례에 사용하는 용구들을 보관하는 곳으로 곳집’, ‘행상집으로도 불렀다.


상엿집은 마을 공동으로 관리하지만 마을사람들이 드나들기 쉬운 곳보다는 외진 곳에 주로 지었다. 이는 상엿집이 삶과 죽음이 교차하는 두려움의 장소로 인식되어 가까이하고 싶지 않은 금단의 장소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평소에는 사람의 발길마저도 뜸해 을씨년스럽고, 비바람에 무너지거나 허물어져도 보수조차 제때에 하지 않고 방치해 보기 흉하지만 우리 조상들에게는 이승에서 저승으로 나를 이어주는 상여를 보관하는 피안의 귀의처로 기능했다.


그러나 현대사회의 급격한 변화는 상례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고, 이러한 변화는 전통상례에도 크게 영향을 끼쳐 이제는 상엿집을 만나는 것조차 어려운 시대가 됐다.


이에 안동민속박물관에서는 학술총서 22집에 안동지역에 현전하고 있는 168개의 상엿집을 전수 조사해 수록함으로써 많은 사람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았고, 한편으로는 쓰러져가는 상엿집을 춤판의 배경 무대로 활용하고자 하는 요청도 있어 협의 중에 있다. 박물관에서는 이번 기획전시가 상엿집에 대한 관심과 호응에 불쏘시개가 돼 상엿집의 상징성과 가치를 새롭게 이해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시되는 사진은 지역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사진작가 강병두의 작품으로 피사체인 상엿집을 삶과 죽음의 경계로 표현해내고 있다. 전시되는 작품은 작가가 1년에 걸친 조사기간 조사자와 동행하며 겨울에는 눈밭을 헤치고 한여름에는 내리쬐는 뙤약볕에 흐르는 땀을 손으로 훔치며 담아 낸 귀한 사진들이다.

 

전시안내


1. 전 시 명 : 안동민속박물관 2017년 하반기 별관 기획전(사진전)

안동의 상여집

2. 전시기간 : 2017821() ~ 920()

3. 개 막 식 : 2017821() 18:30

4. 전시대상 : 상여집 관련 사진 및 패널 30여점

5. 전시장소 : 안동민속박물관 별관전시실

6. 주최주관 : 안동민속박물관



안동시/안동민속박물관, 특별기획전 「안동의 상여집」사진전 개최

사진.자료제공/학예연구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