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4 (목)

  • 흐림속초 28.7℃
  • 흐림철원 29.9℃
  • 흐림동두천 29.3℃
  • 흐림대관령 25.7℃
  • 구름많음춘천 30.8℃
  • 흐림백령도 27.2℃
  • 구름많음북강릉 29.4℃
  • 흐림강릉 30.6℃
  • 구름많음동해 29.5℃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원주 31.2℃
  • 구름조금울릉도 29.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영월 29.5℃
  • 흐림충주 30.5℃
  • 흐림서산 32.9℃
  • 흐림울진 28.1℃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맑음추풍령 29.8℃
  • 구름많음안동 31.2℃
  • 구름많음상주 31.1℃
  • 구름많음포항 28.9℃
  • 구름많음군산 31.2℃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창원 31.6℃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통영 31.9℃
  • 구름조금목포 31.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흑산도 29.0℃
  • 구름조금완도 33.2℃
  • 구름조금고창 32.7℃
  • 맑음순천 30.8℃
  • 구름많음홍성(예) 31.3℃
  • 구름조금제주 31.6℃
  • 구름조금고산 30.4℃
  • 구름조금성산 30.8℃
  • 구름조금서귀포 31.6℃
  • 맑음진주 30.4℃
  • 흐림강화 30.0℃
  • 구름많음양평 29.4℃
  • 구름많음이천 30.1℃
  • 흐림인제 29.1℃
  • 흐림홍천 29.6℃
  • 구름많음태백 29.1℃
  • 구름많음정선군 30.7℃
  • 흐림제천 28.6℃
  • 흐림보은 29.2℃
  • 흐림천안 29.4℃
  • 구름많음보령 33.2℃
  • 구름조금부여 30.6℃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많음부안 32.0℃
  • 구름조금임실 30.4℃
  • 구름조금정읍 33.9℃
  • 구름조금남원 31.5℃
  • 구름많음장수 30.2℃
  • 구름조금고창군 32.3℃
  • 구름많음영광군 31.7℃
  • 맑음김해시 33.0℃
  • 맑음순창군 31.1℃
  • 구름조금북창원 33.0℃
  • 구름조금양산시 33.4℃
  • 맑음보성군 31.8℃
  • 구름조금강진군 31.5℃
  • 구름조금장흥 31.3℃
  • 구름조금해남 32.1℃
  • 맑음고흥 32.3℃
  • 맑음의령군 30.6℃
  • 구름조금함양군 31.4℃
  • 맑음광양시 31.6℃
  • 구름조금진도군 30.8℃
  • 흐림봉화 29.4℃
  • 구름많음영주 30.0℃
  • 구름많음문경 30.2℃
  • 흐림청송군 29.6℃
  • 구름많음영덕 29.8℃
  • 구름많음의성 31.3℃
  • 구름많음구미 31.6℃
  • 구름많음영천 32.3℃
  • 맑음경주시 32.0℃
  • 구름많음거창 30.1℃
  • 맑음합천 32.4℃
  • 맑음밀양 33.0℃
  • 맑음산청 31.5℃
  • 맑음거제 31.0℃
  • 구름조금남해 29.3℃
기상청 제공

뉴스경북/종합

[뉴스경북/종합] 경북도, 어촌 마을어장 적극적 자원 조성

- 수산종묘방류사업 등 다양한 사업으로 소득증대와 자연번식 기회 제공 -

경상북도는 36억원을 투입해 마을어장 146개소를 중심으로 전복, 해삼, 도다리 등 고부가 우량 수산종묘 464만 마리를 방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지난해 여름 적조로 인한 피해와 점점 감소 추세에 있는 연안어장의 수산자원 조기회복을 위한 것이다.

 

지난해 적조는 1995년 이후 가장 극심했으며, 양식어패류 뿐만 아니라 마을어장의 전복 등 어패류 피해도 많았던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직접적인 복구지원 근거가 없어 수산종묘방류사업을 확대해 조속한 자원회복을 도모하게 된 것이다.

 

 ’14년 사업량 : 전복 104개소/153만, 해삼 33개소/248만마리, 기타 9개소/63만마리

수산종묘방류사업은 지난 1994년부터 시작 연간 100만여 마리를 방류해 작년까지 2억 6백만 마리의 방류한 바 있으며, 본 사업을 통해 넙치 2.56배, 전복 2.29배, 볼락 3.82배, 다슬기 4.5배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道 수산자원개발연구소에서도 350여만 마리의 우량종묘를 생산, 어촌계 마을어장을 중심으로 집중 방류하고 있으며, 어업자원자율관리공동체 지원사업으로 32개 어촌계가 전복, 해삼 등 방류해 어업인 소득증대와 더불어 자연 번식할 기회를 만들어 주고 있다.

- 연 구 소 : 전복 18개소/70만마리, 해삼 10/75, 강도다리 6/60, 볼락 6/44, 기타 17/101

- 자율사업 : 전복 26개소/480마리, 해삼 10/75, 강도다리 6/60, 볼락 6/44, 기타 17/101

 

이두환 도 동해안발전추진단장은“연안생태계 회복과 어업인 소득증대를 위해 수산종묘방류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고, 바다숲조성, 자석투석 등의 사업도 병행해 마을어장의 조속한 자원회복에 최선을 다하겠다”면서,“이러한 사업들의 성패는 어업인들에게 달려 있다. 채취시기까지 방류어장에 대해 불가사리 등 해적생물 구제하고, 자율관리를 통해 지속가능한 자원으로서 이용이 가능 하도록 해 달라”고 당부했다.

 

 

<자료제공, 농수산국 수산진흥과>

 

 

 

 

www.newsgb@naver.com 

NEWS경북' 자랑스런 경북인과 함께 합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