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4 (목)

  • 흐림속초 28.7℃
  • 흐림철원 29.9℃
  • 흐림동두천 29.3℃
  • 흐림대관령 25.7℃
  • 구름많음춘천 30.8℃
  • 흐림백령도 27.2℃
  • 구름많음북강릉 29.4℃
  • 흐림강릉 30.6℃
  • 구름많음동해 29.5℃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원주 31.2℃
  • 구름조금울릉도 29.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영월 29.5℃
  • 흐림충주 30.5℃
  • 흐림서산 32.9℃
  • 흐림울진 28.1℃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맑음추풍령 29.8℃
  • 구름많음안동 31.2℃
  • 구름많음상주 31.1℃
  • 구름많음포항 28.9℃
  • 구름많음군산 31.2℃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창원 31.6℃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통영 31.9℃
  • 구름조금목포 31.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흑산도 29.0℃
  • 구름조금완도 33.2℃
  • 구름조금고창 32.7℃
  • 맑음순천 30.8℃
  • 구름많음홍성(예) 31.3℃
  • 구름조금제주 31.6℃
  • 구름조금고산 30.4℃
  • 구름조금성산 30.8℃
  • 구름조금서귀포 31.6℃
  • 맑음진주 30.4℃
  • 흐림강화 30.0℃
  • 구름많음양평 29.4℃
  • 구름많음이천 30.1℃
  • 흐림인제 29.1℃
  • 흐림홍천 29.6℃
  • 구름많음태백 29.1℃
  • 구름많음정선군 30.7℃
  • 흐림제천 28.6℃
  • 흐림보은 29.2℃
  • 흐림천안 29.4℃
  • 구름많음보령 33.2℃
  • 구름조금부여 30.6℃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많음부안 32.0℃
  • 구름조금임실 30.4℃
  • 구름조금정읍 33.9℃
  • 구름조금남원 31.5℃
  • 구름많음장수 30.2℃
  • 구름조금고창군 32.3℃
  • 구름많음영광군 31.7℃
  • 맑음김해시 33.0℃
  • 맑음순창군 31.1℃
  • 구름조금북창원 33.0℃
  • 구름조금양산시 33.4℃
  • 맑음보성군 31.8℃
  • 구름조금강진군 31.5℃
  • 구름조금장흥 31.3℃
  • 구름조금해남 32.1℃
  • 맑음고흥 32.3℃
  • 맑음의령군 30.6℃
  • 구름조금함양군 31.4℃
  • 맑음광양시 31.6℃
  • 구름조금진도군 30.8℃
  • 흐림봉화 29.4℃
  • 구름많음영주 30.0℃
  • 구름많음문경 30.2℃
  • 흐림청송군 29.6℃
  • 구름많음영덕 29.8℃
  • 구름많음의성 31.3℃
  • 구름많음구미 31.6℃
  • 구름많음영천 32.3℃
  • 맑음경주시 32.0℃
  • 구름많음거창 30.1℃
  • 맑음합천 32.4℃
  • 맑음밀양 33.0℃
  • 맑음산청 31.5℃
  • 맑음거제 31.0℃
  • 구름조금남해 29.3℃
기상청 제공

뉴스경북/종합

[뉴스경북/종합] 동해 왕돌초, 황금어장으로 만든다

- 물렁가시붉은새우, 쥐노래미, 볼락 15만마리 방류 -

 

경상북도 수산자원개발연구소에서는 17일 동해 왕돌초에 수산자원 조성을 위해 우량 종묘 15만마리를 방류한다.

 

이번에 방류하는 우량종묘는 지난 1월에 성숙한 어미를 구입해 채란 및 부화시켜 5개월 정도 기른 물렁가시붉은새우 10만 마리, 쥐노래미 12만 마리, 볼락 40만 마리 총 62만 마리 중 일부이다.

 

방류품종은 연구소가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자체적으로 대량 인공종묘 생산에 성공한 품종들이다.

 

물렁가시붉은새우는 도화새우과에 속하는 한해성 갑각류로 우리나라 동해안에 주로 분포하며, 가격이 높아 고급품종으로 분류가 되고 있으나, 자원량 감소로 통발과 기선저인망어선에 의해 소량만 포획되고 있다.

 

쥐노래미는 우리 지역에서 고래치, 게르치 등의 방언으로 잘 알려져 있는 연안 정착성 어종으로, 맛이 담백하고 가식부가 많아 횟감으로 각광 받고 있어 1990년대 후반부터 종묘생산을 위한 연구가 진행됐지만, 산란량이 적고 부화 및 초기 생존율이 낮아 현재까지 대량생산을 위한 체계적인 기술이 확립되지 않았다.

 

볼락 또한 연안 정착성 어종으로 방류효과가 뛰어나고 군집을 이루는 생태적 특성으로 경관을 이루어 수중관광 및 수중테마파크 조성 등에도 좋은 어종이다.

 

한편, 동해의 이어도라 불리는 왕돌초는 울진 후포항에서 동쪽으로 23km 떨어진 바다속 거대 수중 암초로 대게를 비롯한 각종 수산물의 어획량이 풍부해 오래전부터 동해안 지역 어업인의 삶의 터전이었으나, 무분별한 남획으로 인한 자원감소 등 생태계 파괴가 심각한 실정이다.

 

이번에 방류되는 품종들은 모두 이동성이 낮은 정착성 품종으로 왕돌초 해역에 방류되면 향후 주변해역에서 성장 및 산란하기 때문에 왕돌초 수산자원 회복 및 어업인의 새로운 소득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하성찬 수산자원개발연구소장은“연구소에서 전복, 해삼, 강도다리, 돌가자미, 개량조개, 은어 등 고부가 수산 종묘를 매년 300만마리 이상을 생산해 동해안 연안어장 자원조성에 앞장서고 있으며, 금년에는 독도전복,  홍합, 대문어 등 고부가 신품종의 연구개발을 역점 추진해 어업인 소득증대 및 어촌경제 활성화에 더욱더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어린 쥐노래미

 

볼락

 

<자료제공, 수산자원개발연구소. 물렁가시어미새우>

 

NEWS경북' 자랑스런 경북인과 함게 합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