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5 (화)

  • 흐림속초 28.7℃
  • 흐림철원 29.9℃
  • 흐림동두천 29.3℃
  • 흐림대관령 25.7℃
  • 구름많음춘천 30.8℃
  • 흐림백령도 27.2℃
  • 구름많음북강릉 29.4℃
  • 흐림강릉 30.6℃
  • 구름많음동해 29.5℃
  • 흐림서울 32.3℃
  • 흐림인천 31.2℃
  • 구름많음원주 31.2℃
  • 구름조금울릉도 29.2℃
  • 구름많음수원 31.3℃
  • 구름많음영월 29.5℃
  • 흐림충주 30.5℃
  • 흐림서산 32.9℃
  • 흐림울진 28.1℃
  • 구름많음청주 31.0℃
  • 구름많음대전 30.7℃
  • 맑음추풍령 29.8℃
  • 구름많음안동 31.2℃
  • 구름많음상주 31.1℃
  • 구름많음포항 28.9℃
  • 구름많음군산 31.2℃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조금전주 33.3℃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창원 31.6℃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맑음통영 31.9℃
  • 구름조금목포 31.0℃
  • 맑음여수 29.5℃
  • 구름조금흑산도 29.0℃
  • 구름조금완도 33.2℃
  • 구름조금고창 32.7℃
  • 맑음순천 30.8℃
  • 구름많음홍성(예) 31.3℃
  • 구름조금제주 31.6℃
  • 구름조금고산 30.4℃
  • 구름조금성산 30.8℃
  • 구름조금서귀포 31.6℃
  • 맑음진주 30.4℃
  • 흐림강화 30.0℃
  • 구름많음양평 29.4℃
  • 구름많음이천 30.1℃
  • 흐림인제 29.1℃
  • 흐림홍천 29.6℃
  • 구름많음태백 29.1℃
  • 구름많음정선군 30.7℃
  • 흐림제천 28.6℃
  • 흐림보은 29.2℃
  • 흐림천안 29.4℃
  • 구름많음보령 33.2℃
  • 구름조금부여 30.6℃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많음부안 32.0℃
  • 구름조금임실 30.4℃
  • 구름조금정읍 33.9℃
  • 구름조금남원 31.5℃
  • 구름많음장수 30.2℃
  • 구름조금고창군 32.3℃
  • 구름많음영광군 31.7℃
  • 맑음김해시 33.0℃
  • 맑음순창군 31.1℃
  • 구름조금북창원 33.0℃
  • 구름조금양산시 33.4℃
  • 맑음보성군 31.8℃
  • 구름조금강진군 31.5℃
  • 구름조금장흥 31.3℃
  • 구름조금해남 32.1℃
  • 맑음고흥 32.3℃
  • 맑음의령군 30.6℃
  • 구름조금함양군 31.4℃
  • 맑음광양시 31.6℃
  • 구름조금진도군 30.8℃
  • 흐림봉화 29.4℃
  • 구름많음영주 30.0℃
  • 구름많음문경 30.2℃
  • 흐림청송군 29.6℃
  • 구름많음영덕 29.8℃
  • 구름많음의성 31.3℃
  • 구름많음구미 31.6℃
  • 구름많음영천 32.3℃
  • 맑음경주시 32.0℃
  • 구름많음거창 30.1℃
  • 맑음합천 32.4℃
  • 맑음밀양 33.0℃
  • 맑음산청 31.5℃
  • 맑음거제 31.0℃
  • 구름조금남해 29.3℃
기상청 제공

기관단체

[뉴스경북=상주시] 상주박물관, 양질의 15세기 분청사기 가마터 학술발굴

 

 

 

모동면 상판리 일원 발굴조사, 학계 관심 고조

 

 

 

조선 15세기 전반의 것으로 보이는 분청사기 가마터가 경북 상주시 모동면 상판리 일원에서 발굴조사되어 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이번 발굴조사는 상주박물관(관장 전옥연)이 문화재청의 허가를 득한 후 직접 수행한 최초의 학술발굴조사로서, 그 대상을 상주 분청사기 가마터로 잡아 첫 삽을 떴다.

 

상주지역은 세종실록지리지에 上品자기소 2개소, 中品자기소 1개소가 기록된 곳으로 우수한 품질의 고급자기가 생산되는 지역이다. 하지만 옛 상주의 우수한 자기문화가 기록으로만 확인되어 있을 뿐 그 실체에 대한 해명과 접근은 거의 없는 상황이었다. 이에 대한 규명과 자료확보를 위한 목적으로 상주박물관에서는 지난 5월 20일에 조사를 착수하여 현재 조사를 진행 중에 있다.

 

이번 조사에서 분청사기 가마 1기와 폐기장 1개소 가 확인되었다. 가마는 화구부터 연소실, 초벌구이칸까지 비교적 양호한 상태로 잘 남아있었다. 초벌구이칸은 연통부와 겸하는 곳에 만들었으며, 접시와 대접, 잔탁 등이 중첩되어 있어 당시 가마의 조업상황과 구조파악에 매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주고 있다.

 

발굴된 유물로는 분청사기 대접과 접시를 비롯하여 제기, 잔받침, 고족배 등 고급 제작기술에 의한 다양한 기종이 출토되었으며, 특히 우리나라 가마터 유적에서는 최초로 분청사기 베개가 출토된 것은 매우 주목된다.

 

그밖에 “○芭○十三” 이라는 묵서명의 초벌자기편 등 명문자기도 출토되고 있으며, 향후 출토유물 정리를 통해 옛 상주 자기문화의 우수성을 입증 할 수 있는 중요자료가 추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조사의 학술자문위원으로 참여한 한성욱 민족문화유산연구원장은 “가마의 잔존상태가 매우 양호하여 당시 조업상황을 잘 짐작할 수 있게 하며, 조선시대 상품자기소의 위상을 볼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유물이 출토된 만큼 체계적인 보존과 정비․활용이 필요할 것이며 향후 문화재 지정을 추진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전옥연 상주박물관장은 “이번 발굴조사의 가장 큰 성과는 세종실록지리지의 상품 자기소에 부합하는 가마터의 실체를 확인하는 동시에 당시 상주뿐만 아니라 경북 일대의 도자기 문화를 선도하는 최고 수준의 도자기 공인 집단이 이 일대에 존재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는 점”이라면서, “상주박물관에서는 앞으로 상주의 역사와 문화를 드러낼 수 있는 문화재 조사를 비롯하여 전시나 학술대회의 활발한 개최를 통해 많은 사람들이 상주의 우수한 문화를 알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학술발굴조사는 8월 5일까지 진행될 예정이며, 8월 3일과 4일 양일간에 걸쳐 현장을 공개할 예정이다.<자료제공,상주박물관>

 

 

 

 

 

 

 

 

 

뉴스경북' 자랑스런 경북인과 함께 합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