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3 (수)

  • 흐림속초 21.0℃
  • 흐림철원 23.8℃
  • 흐림동두천 23.0℃
  • 흐림대관령 17.8℃
  • 흐림춘천 23.5℃
  • 구름조금백령도 23.8℃
  • 북강릉 20.3℃
  • 흐림강릉 20.8℃
  • 흐림동해 21.1℃
  • 서울 27.9℃
  • 천둥번개인천 27.3℃
  • 구름많음원주 24.9℃
  • 울릉도 20.6℃
  • 구름많음수원 27.8℃
  • 흐림영월 26.8℃
  • 구름많음충주 26.1℃
  • 구름많음서산 27.4℃
  • 흐림울진 23.6℃
  • 흐림청주 26.2℃
  • 구름많음대전 28.0℃
  • 구름많음추풍령 24.5℃
  • 구름많음안동 26.8℃
  • 구름많음상주 26.0℃
  • 구름많음포항 23.5℃
  • 구름조금군산 26.6℃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전주 28.2℃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창원 28.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맑음통영 28.7℃
  • 구름많음목포 26.9℃
  • 구름조금여수 28.0℃
  • 구름조금흑산도 28.6℃
  • 구름조금완도 29.4℃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조금순천 26.8℃
  • 구름많음홍성(예) 29.6℃
  • 구름많음제주 29.8℃
  • 맑음고산 28.9℃
  • 맑음성산 29.9℃
  • 구름조금서귀포 31.7℃
  • 구름조금진주 29.6℃
  • 흐림강화 26.6℃
  • 흐림양평 25.7℃
  • 구름많음이천 28.4℃
  • 흐림인제 22.6℃
  • 흐림홍천 23.1℃
  • 흐림태백 19.3℃
  • 흐림정선군 21.8℃
  • 구름많음제천 24.3℃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천안 26.2℃
  • 구름조금보령 28.3℃
  • 구름많음부여 28.8℃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조금부안 27.8℃
  • 구름많음임실 26.8℃
  • 구름조금정읍 28.8℃
  • 구름많음남원 28.2℃
  • 구름많음장수 25.0℃
  • 구름조금고창군 28.3℃
  • 맑음영광군 28.5℃
  • 구름많음김해시 29.1℃
  • 구름많음순창군 28.0℃
  • 구름조금북창원 29.2℃
  • 구름많음양산시 29.5℃
  • 맑음보성군 29.7℃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조금장흥 29.1℃
  • 구름많음해남 28.4℃
  • 구름조금고흥 29.5℃
  • 구름많음의령군 28.5℃
  • 구름조금함양군 28.3℃
  • 구름조금광양시 29.3℃
  • 구름조금진도군 27.7℃
  • 흐림봉화 23.9℃
  • 구름많음영주 26.4℃
  • 구름많음문경 26.9℃
  • 구름많음청송군 26.8℃
  • 흐림영덕 21.2℃
  • 구름많음의성 28.2℃
  • 흐림구미 27.3℃
  • 구름많음영천 27.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구름조금거창 29.1℃
  • 구름많음합천 30.1℃
  • 구름많음밀양 29.5℃
  • 구름조금산청 28.8℃
  • 맑음거제 28.6℃
  • 맑음남해 29.1℃
기상청 제공

프라이드 경북축제/행사

제6회 청도읍성 밟기

[청도읍] 청도읍성, 문화로 꽃 피우다, 3월 9일(수) 전통문화행사로 재현

 

 

 

무병장수와 가정화목 나아가 국태민안을 기원하는 체험관광 코스 및 교육의 장으로 활용

 

대구 경북의 유일한 읍성 밟기 전통문화행사로 경쟁력 갖춰

 

 

[뉴스경북 = 정대윤 기자] 청도군(군수 이승율)은 오는 9일 새마을운동발상지 청도군 화양읍 새마을 단체(새마을지도자회, 새마을부녀회, 새마을문고회)의 주최·주관으로 해마다 음력 이월 초하룻날을 기념하여 개최해오던 청도읍성 밟기 문화행사를 청도읍성 일원에서 개최한다.

 

읍성 밟기는 답성놀이, 성 돌기 라고도 부르기도 하며, 부녀자들이 성곽 위에 올라가 산성의 능선을 따라 밟으며 열을 지어 도는 풍속으로, 남자는 읍성을 지키고 여자들은 성벽을 튼튼하게 다지면서 무기로 활용한 돌을 머리에 이고 운반하던 데에서 유래된 전통 민속놀이이다.

 

청도읍성 밟기는 지난 2009년도 새마을단체에서 본격적인 청도읍성 복원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에 발맞추어 선조들의 고유한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고자 재현된 이래, 올해로 6회째로 매년 시행해 오고 있으며, 대구 경북지역의 유일한 읍성 밟기 문화행사이다.

 

예부터 민간(民間)에 전(傳)해 내려오는 신앙(信仰)으로 읍성을 돌면 액운을 쫓고 무병장수(無病長壽)하며 극락왕생(極樂往生)한다하여 최근 가족단위나 친구, 연인 등 다양한 형태의 관광객들이 읍성을 찾아 답성 놀이를 즐기고 있다.

 

이곳 청도읍성은 청도의 진산(鎭山)인 남산[829m]에서 청도천으로 뻗은 두 줄기의 능선 사이에 남고북저(南高北低), 동고서저(東高西低)한 해발 100∼122m의 구릉지와 일부 평탄지에 축조된 전형적인 평지성과 산성의 중간형태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문헌 기록상으로는 고려초에 토석 혼축성으로 축조되었던 성곽으로 길이 1,570보(약 1.9km) 높이 5척 5촌(약 1.65m)의 규모이며, 1589년(선조 22)에 학봉(鶴峰) 김성일(金誠一)이 통신사로 일본에 다녀와서 정세의 위급함을 조정에 알리자 동래에서 서울에 이르는 대로변에 접한 주군(州郡)의 성지(城池)를 수축하라는 왕명에 따라 1590년(선조 23)에 군수 이은휘(李殷輝)가 2년에 걸쳐 개축하여 완공하였던 유서깊은 역사유적지로 경상북도 기념물 제103호로 지정되어 보존 관리되어오고 있다.

 

당시 임진왜란을 맞으면서 동·서·북문이 소실되는 등 크게 파손되었는데, 그 후 소실된 문루를 다시 세우고 성벽을 보수하여 조선조 말까지 유지되어 왔으나, 또다시 일제강점기에 모두 헐어버리게 되는 아픈 역사를 간직한 채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21세기 현대에 이르러 청도읍성이 순조롭게 복원되고 있는 현장에서 읍성밟기가 문화행사로 개최되고 주민들과 관광객들이 직접 참가할 수 있음에 따라 우리선조들의 슬기와 나라사랑하는 마음을 느끼고 체험할 수 있는 좋은 문화행사로 호평을 받으며 인기를 더하고 있다.

 

조선시대 당시 동문은 봉일루, 서문은 무회루, 북문은 공북루라 하였고,《경상도읍지》등 조선시대 문헌에 의하면, 이 성곽 안에는 동헌·객사·근민당·군관청·장관청·기고청·군기고·대동고·고마청·사창·억만고 등의 관아 건물이 있었으나 외세침략과 세월이 지나면서 지금까지 남아 있는 건물로서는 객사로 사용되던 도주관과 동헌이 각각 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212호 및 문화재자료 제403호로 지정 보존되고 있다.

 

현재까지 복원된 사업은 석빙고가 있는 동측구간에서 북측구간으로 북문인 공북루가 완공되고 조선시대 관아건물인 고마청과 억만고가 복원되었으며, 읍성 성곽은 600m정도 복원이 완료된 상태로, 현재 서문 무회루 구간의 발굴조사와 함께 올해 서문이 복원될 예정이다.

 

올해 청도읍성 밟기 행사에서는 식전행사로 고유제와 화양읍 여성농악단 길놀이에 이어서 1부 공식행사인 기념식과 2부 공식행사로 읍성 밟기 행사에서는 부녀자들이 머리에 돌을 이고 동문에서 북문 공북루까지 한 줄로 쭉 이어서 읍성을 돌게 되며, 3부 축하공연은 온누리예술국악단 공연과 초청가수 공연, 전유성의 철가방극장 공연 그리고 청도읍성 역사관, 무병장수(無病長壽)관, 가정화목(家庭和睦)관, 청도대박관, 국태민안(國泰民安)관, 전통민속음식체험관, 청도농특산물관, 다도체험(茶道體驗)관 등 다양한 전시 체험 프로그램을 준비해놓고 있다.

 

이승율 청도군수는 “청도읍성은 임진왜란과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대부분의 관아건물이 소실되고 읍성마저 많이 훼손되었던 역사현장으로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우리 선조들의 전통문화를 계승 발전시켜나감은 물론, 자라나는 우리 청소년들에게는 좋은 교육적 체험장으로 활용되도록 청도읍성 복원사업에 더욱 박차를 기하여나가겠다”고 밝히며 이번 읍성 밟기 행사를 추진한 새마을단체에 감사드리며, “우리 군민 모두가 무병장수(無病長壽), 소원성취(所願成就)하기를 기원하며 주민화합의 장으로 발전 승화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자료제공,화양읍>

 

 

 

 

 

 


배너